논문 상세보기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에 따른 청예피의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KCI 등재

Effects of Seeding Rate on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chinochloa crusglli Var. Frumentacea(Roxb) Wight In Jeju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2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제주피의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16일에 ha당 15, 20, 25, 30, 35, 40kg에 해당하는 량을 조파하여 2000년 6월 28일(1차 예취)과 8월 30일(2차 예취)에 생육특성, 사초수량, 사료성분 등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15kg/ha 파종구에서 155.5cm였던 것이 파종량이 35kg/ha으로 증가함에 따라 162cm로 커졌으나, 그 이상 파종량을 증가할수록 작아져서 40kg/ha 파종구에서는 152.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um seeding rate of Jeju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var. fiurnentacea(Roxb) Wight), 15, 20, 25, 30, 35 and 40 kilograms per a hectare were planted in April 16, 2000, respectively. The growth characterization, the yi

저자
  • 조남기(제주대학교)
  • 강영길(제주대학교)
  • 송창길(제주대학교)
  • 고영순(제주대학교)
  • 조영일(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