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우 도체등급에 따라서 발현되는 경제형질 유전자의 유의성 검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91591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International Symposium on Developmental Biotechnology)
한국동물번식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nimal Reproduction)
초록

쇠고기의 육질 등급을 좌우하는 요인으론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상강도(마블링, 근내 지방도) 등이 있는데 그중 근육 내 지방 축적도는 고기의 연도 및 다즙성에 영향을 미치 며 등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최근 들어 근육 내 지방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 연구 및 SNP 탐색을 통한 DNA maker 개발 등 분자생물학적으로 많은 연구보고 가 있으나 등급 간 유의성에 대한 정확한 증명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등급 판정소에서 공인하여 선정된 1++의 등급을 판정받은 한우 6두와 2등급으로 판정받은 한우 6두에서 근내지방도와 관련된 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GPAT, ACSS2, MGAT, EXT1, FABP4, BCO2, LPL, DGAT, PLIN2, ADSF, TG와 연도와 관련된 유전자인 CAST와 CAPN3의 mRNA 발현양상을 분석하고 유의적 차이점을 확인 하여 경제 형질 선발 마커의 사용 가능성을 선발하기 위하여 등심조직 내 mRNA를 추출 하였고, 각 유전자를 탐침으로 이용하여 sqRT-PCR 및 양적 분석을 위한 nano-spector mate fluorescence system으로 발현양상을 측정하였다. 이후 유의적 평가를 검증 위하여 SAS program (V9.1)의 t-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경제 형질 유용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ADSF와 LPL의 경우 평균 근내 지방도가 8±1인 1++등급보다 2±1인 2등급에서 높은 발현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그 값 이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외 근내지방도 및 연도와 관련된 유전자 그룹의 경 우 1++등급이 2등급보다 발현양상이 높게 측정되었다. 근내지방도 및 연도에 관련된 유 전자로 선발한 GPAT, ACSS2, DGAT, PLIN2의 경우 유의성 분석결과 유의적 차이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GAT, EXT1, CAPN3, FABP4, BCO2, CAST, TG의 경우 유의 성(p<0.05)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근내지방도 선발 표지 마커로 사용이 가능한 MGAT, EXT1, TG, FABP4, BCO2와 연도 측정에 관련한 CAST, CAPN3의 총 7개의 유전자를 선발 할 수 있었다.

저자
  • 강현아(국립한경대학교 바이오정보기술대학원 동물생명공학전공)
  • 김상환(국립한경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 진보람(국립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동물생명과학전공)
  • 김대승(국립한경대학교 바이오정보기술대학원 동물생명공학전공)
  • 윤종택(국립한경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국립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동물생명과학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