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천안시 공원이용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patial Distribution of Users’ Behavior in the Urban Parks of Cheonan 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7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천안시 소재 도시공원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이용행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천안시민 2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거주기간으로는 10년 이상, 거주 유형으로는 아파트 등으로 나타났다.응답자의 공원이용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용빈도는 1년에 2-3회 방문, 이용시간은 1-2시간, 이용계절은 봄과 가을,도보 접근시간은 10분 이내, 차량 접근시간도 10분 이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 이용공원의 종류로는 거주지역주변의 공원, 공원이용 목적에는 산책, 운동, 휴식 등이 높게 나타났다. 여가시간을 보내는 장소로는 집, 백화점, 극장,공원 순으로 나왔으며 천안시민의 부족한 여가공간 실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공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공원의 개수, 접근거리, 그리고 전체 만족도에서 모두 중간 점수에서 약간 불만족한정도로 기울어진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되는 요인에 대하여는 ‘천안 시내의 공원시설이빈약하다’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의견에서도 ‘시내 중심에 공원을 많이 배치하자’는 항목이 가장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천안시의 공원 이용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공원의 배치, 공원 내 환경 개선 등을주요 방향으로 제안하고자 한다.공원이용 만족도의 공간 분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시내지역과 시외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에 대한 만족도를살펴본 결과 공원의 개수, 접근거리, 전체 만족도 등에 있어서 시외지역이 시내지역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내지역에대해서 뿐만 아니라 시외지역에 대한 공원정책을 균등하게 배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각 지역의 동별로 분포 특성을비교해 본 결과 두정동에서는 도달거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쌍용동에서는 공원에 대한 전체 만족도가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 수치는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평가로 보이며 향후 공원정책을 수립할 때중요한 인자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use behaviors about the urban park of Cheonan city using 260 citizen’s surveying. The results were follow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urveyed include more than 10 years of residence, residential apartments, etc.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respondents using the park, use frequency of 2-3 times a year, visiting hours 1-2 hours, by the spring and fall seasons, within 10 minutes walking access, vehicle access within 10 minutes of time was the highest. Main type of citizen’s favorite visiting park is showed of the neighborhood park, purpose of use in the walk, exercise, rest, etc. respectively. The place of wasting leisure time is mainly revealed that order of the house, department stores, theaters, parks. So this means that Cheonan is at the status of the lack of leisure space. The satisfaction surveys show that the numbers of planned parks, the access distanc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degree of the park is to be slightly inclined to the in dissatisfaction degree. In addition, satisfaction has influenced the suspect factors for the 'Cheonan city's park facilities are poor', the highest score came out, to improve their comments in the 'city center park lot layout, let's the topic that will be the highest. Therefor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Cheonan City's parks as a strategy for improving the layout of the park, park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s are suggested as the main directi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atisfaction is showed the difference of two areas such as the downtown area and the rural area. As the results, the city of the number of the park, access distanc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rural areas. Thus, the park planning policy for the rural areas is necessary as well as for downtown areas equall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by Dong showed that Doseong-dong reached the results of the lowest on the access distance, ssangyong-dong was the lowest overall satisfaction. These figures indicat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s shown as the main assessment tool and as an important factor when formulating policy will apply.

저자
  • 이행렬(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Lee, Haeng Lyoul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