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북에서 도입 콤먼베치 및 자생종의 생육특성과 수량 KCI 등재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Introduced Common Vetch (Vicia sativa) Cultivars and Korean Wild Common Vetch in Kyeongbu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0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2모작 작부체계에 알맞은 다수성이며 조숙성인 콤먼베치의 품종을 선발 할 목적으로 헤어리베치 Cold green, 콤먼베치Maxivesa, Wild common, Rasina, Morava 및 Blanchefleur의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초품질을 평가하였다. 시험설계는품종을 처리로한 6처리 3반복의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파종은 2010년 10월 11일과 2011년 10월 3일에 하였으며수확은 2011년 5월 4일과 2012년 5월 10일에 실시하였다.가을의 초형은 Wild common은 부복형이었으며 다른 품종들은 반직립형이었다. 유식물의 활력은 다른 품종들에 비해 Wild common이 다소 낮았다. 내한성은 Cold green과Wild common이 우수했으나 다른 콤먼베치 품종들은 낮았다. 개화기는 Cold green이 4월 22일로 가장 빨랐으며Wild common은 4월 26일 Rasina와 Blanchefleur가 4월 28일이었으며 Maxivesa가 5월 17일이었다. 1년차 시험에서건물수량은 Cold green은 다른 5품종보다 수량이 높았으며 (p<0.05), Wild common은 나머지 4품종보다 많았으며(p<0.05), Maxivesa와 Blanchefleur는 Rasina와 Morava보다높았다 (p<0.05). 2년차 시험에서도 건물수량은 Cold green은 다른 5품종 보다 높았으며 (p<0.05), Wild common은 다른 4품종보다 높았다 (p<0.05). 일반적으로 베치의 CP 함량은 높았고 섬유소함량은 낮았다. 가을 파종 콤먼베치의 품종은 개화기가 빠르며 내한성이 강한 Wild common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dry matter (DM) yield of hairy vetch ‘Cold green’, common vetch ‘Maxivesa’, ‘Wild common’, ‘Rasina’, ‘Morava’, and ‘Blanchefleur’, at Seongju in Kyeongbuk from 2010 to 2012.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Vetchs were seeded on the 10th of Oct. 2010 and on the 3rd of Oct. 2011. Vetch plants were harvested on the 4th of May 2011 and on the 10th of May in 2012. ‘Cold green’ and ‘Wild common’ exhibited greater cold tolerance than other cultivars. Fifty percent-flowering of ‘Cold green’ occurred on the 22nd of Apr., whereas that of ‘Wild common’ occurred on the 26th of Apr. and those of ‘Rasina’ and ‘Blanchefleur’ occurred on 28th of Apr. and that of ‘Maxivesa’ occurred on 17th of May. The DM yield of ‘Cold green’ was higher (p<0.05) than all other cultivars, whereas the DM yield of ‘Wild common’ was higher (p<0.05) than those of the remaining 4 cultivars.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Wild common’ vetch is be recommendable for cultivation where increased DM production is sought.

저자
  • 신정남(계명문화대학교) | Chung Nam Shin
  • 고기환(계명문화대학교) | Ki Hwan Ko Corresponding author
  • 김종덕(천안연암대학) | Jong Duk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