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Plant Quality of Potted Saxifraga rosacea Moench KCI 등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7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운간초의 분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Kumoma’ 와 ‘Kumoma-Gusa’ 두 품종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식물생장억제제 (PGRs) 4종을 처리 하였다. 식물생장억제제 종류와 처리농도는 paclobutrazol (10, 20, 40, 80 mg·L-1), flurprimidol (5, 10, 20, 40mg·L-1), daminozide (500, 1000, 2000, 4000mg·L-1), chlormequat (50, 100, 200, 400 mg·L-1)이고 엽면살포 와 토양관주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Paclobutrazol 40 mg·L-1 처리는 운간초의 두 품종에서 초장과 화경 장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Kumoma’ 품종에서, paclobutrazol 40 mg·L-1 엽면살포와 토양관주 처리방 법은 초장을 각각 12.6, 12.5 cm로, 화경장은 3.4, 3.3 cm로 줄일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 는 paclobutrazol 토양관주는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은 13.2-10.7 cm, 화경장은 3.9-2.0 cm까지 줄일 수 있었지만 꽃의 수는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현 저하게 감소하여서 20개까지 감소하였다. Flurprimidol 20mg·L-1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는 두 품종 모두 초장과 화경장을 줄일 수 있었다. ‘Kumoma’ 품종에 서 flurprimidol 10 mg·L-1 스프레이 또는 토양관주 처리는 개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대조구와 비 교해 꽃의 수는 44.7개 이상, 출하 일수는 5일 정도 빨리 출하 할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 PGRs처리에 의한 초장 과 화경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paclobutrazol 80mg·L-1과 flurprimidol 40mg·L-1 이었고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에서 각각, 초장은 10.7, 9.9 cm, 화경장은 2.0, 1.5 cm 로 생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flurprimidol 40 mg·L-1 토양관주 처리에서 출하일수는 농도에 따라 3-13일 정도 대조구보다 늦어졌고 꽃의 수는 15.6개로 가장 적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daminozide 처리는 초장과 화경장 이 줄어들지 않았지만 ‘Kumoma’ 품종에서는 대조구 와 비교했을 때 꽃의 수가 증가하였다. Chlormequat 처리는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와 비교했 을 때 화경장 감소효과는 작았고 처리 식물의 잎은 다른 처리에 비해 연한 녹색을 보여주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chlormequat 과 daminozide 처리는 생육과 개화 품질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꽃의 수는 모든 처리농도에서 41개 이상을 보여주었고, ‘Kumoma-Gusa’ 품종에 chlormequat 토양관주 처리는 최대 꽃의 수 63개를 볼 수 있었다. 이번 결과들은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가 운간초 분화의 품질 향상을 위한 화경장의 생육을 조 절하는 생장억제제로서 사용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 고, ‘Kumoma’ 품종에서는 paclobutrazol 40 mg·L-1 스프레이는 생육특성을, flurprimidol 10 mg·L-1 토양관 주 방법은 개화관련 특성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 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고, ‘Kumoma-Gusa’ 품종 에서는 flurprimidol 20mg·L-1 스프레이와 flurprimidol 5mg·L-1 토양관주 방법이 운간초 분화의 생육특성과 개 화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다.

Four different plant growth retardants (PGRs), paclobutrazol, flurprimidol, daminozide, and chlormequat, were applied to potted Saxifraga rosacea ‘Kumoma’ and ‘Kumoma-Gusa’ plants for control of the growth and flowering. Paclobutrazol (10, 20, 40, 80 mg·L-1), flurprimidol (5, 10, 20, 40 mg·L-1), daminozide (500, 1000, 2000, 4000 mg·L-1), and chlormequat (50, 100, 200, 400 mg·L-1) were applied to the plants by a foliar spray or drenching. In ‘Kumoma’, application of 40 mg·L-1 paclobutrazol by a foliar spray or drenching reduced plant height by 12.5 and 12.6 cm, and flower length by 3.4 and 3.3 cm,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Kumoma-Gusa’, drenching of paclobutrazol reduced plant height by 10.7 to 12.6 cm and flower length by 2.0 to 3.9 cm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but the number of florets almost fell to 20 as compared to 40.5 in the control. ‘Kumoma-Gusa’ plants drenched with 80 mg·L-1 paclobutrazol and sprayed with 40 mg·L-1 flurprimidol had the shortest heights of 10.7 and 9.9 cm, and floral length of 2.0 and 1.5 cm, respectively. A flurprimidol drenching at 40 mg·L-1 delayed the harvest by 3-13 days a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smallest number of florets, 15.6, was observed in this treatment. In both cultivars, chlormequat and daminozide did not effectively influence the growth and flowering. However, number of florets increased to more than 41 at all concentrations and up to 63, the greatest floret number, with chlormequat drench in ‘Kumoma-Gusa’.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over 40 mg·L-1 of paclobutrazol or 5 to 20 mg·L-1 of flurprimidol could be used as PGRs to control the growth of floral length and flowering for improving potted plant quality in S. rosacea ‘Kumoma’ and ‘Kumoma-Gusa’.

저자
  • Yeon Hee Park(Yangju City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Department of Plan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Yoon Jin Kim(Department of Plan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Hyun Hwan Jung(Department of Plan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Ki Sun Kim(Department of Plan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