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응집제를 활용한 간헐포기 MBR공정에서 순간플럭스 증가가 분리막에 미치는 영향 평가 KCI 등재

The Estimating an Effect of Rapid Flux Increase to a Membrane in the Intermittent Aeration MBR Process Using Alum Treat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4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폭기조를 간헐 폭기로 운전하여 호기/무산소(oxic/anoxic) 시간 비율과 무산소 조건에서 호기 조건으로의 전환시 공기세정이 투과플럭스 및 투과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호기조건에서 무산소 조건으로 전환 시 펌프의 회전력에 의한 흡인압력이 투과플럭스와 투과 압력에 주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긴 슬러지체류시간(SRT; Sludge Retention Time)과 고농도의 MLSS 유지시에 발생하는 미생물 대사산물이 분리막에 미치는 영향과 응집제를 투여하였을 때 분리막에 작용하는 플러스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았다. 호기/무산소(oxic/anoxic)의 시간비율에 따른 유기물 및 질소 제거효율을 조사해본 결과 폭기 40 비폭기 20분의 시간배분 조건에서 처리효율이 가장 양호하였으므로 호기/무산소(oxic/anoxic) 조건을 40/20분으로 한 조건(step-7)에서 약품주입 실험을 수행하였다. 액체 명반을 폭기조에 직접 투여할 경우 약품의 농도가 질산화 및 탈질 미생물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MBR공정에서 인 1 mg/L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약 0.7 mg/L의 액체명반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By supplying air intermittently in various mode, the effects of oxic/anoxic time ratio and air scrubbing in aeration condition on the membrane flux and permeability were investigated. When suction pump stops, vacuum pressure remains inside the suction pump. Therefore, the effect of remaining vacuum pressure in the suction pump on fouling of membrane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EPS (Extra cellular Polymeric Substance) which is generated due to the long SRT and high concentration of MLSS and the dose of coagulant on the membrane were also investigated. The suitable oxic/anoxic time ratio for the best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ous matter was 40 minutes (Oxic) : 20 minutes (Anoxic). At this time ratio, alum was dosed into the aeration tank. The result of dosing alum was that the concentration of alum solution might affect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o remove 1 mg/L of phosphorus in MBR process, it needs 0.75 mg/L of alum solution.

저자
  • 최송휴(한양대학교 환경과학과) | Choi Song Hyu 주저자
  • 조남운(대한통운(주) 환경사업소) | Cho Nam un
  • 한명수(한양대학교 환경과학과) | Han Myong 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