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d 코팅된 V-Ti-Ni 합금 분리막을 통한 수소투과에서 CO와 CO2의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CO and CO2 on Hydrogen Permeation through Pd-coated V-Ti-Ni Alloy Membra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7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팔라듐이 코팅된 V53Ti26Ni21 합금 분리막을 통해 수소 투과시 혼합가스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순수 수소, 수소,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의 혼합가스를 공급가스로 주입할 때, 450℃, 1-3 bar의 압력에서 팔라듐이 코팅된 V53Ti26Ni21 합금 분리막의 수소 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소만을 공급한 투과 실험에서 팔라듐 코팅된 V53Ti26Ni21 합금 분리막(두께: 0.5 mm)의 수소 투과량은 3 bar, 450℃ 조건에서 5.36mL/min/㎠였다. 또한 수소/이산화탄소, 수소/일산화탄소 및 수소/이산화탄소/일산화탄소를 공급한 투과실험에서 V53Ti26Ni21 합금 분리막의 수소 투과량은 각각 4.46, 5.20, 3.91mL/min/㎠였다. 따라서, 수소/이산화탄소, 수소/일산화탄소 및 수소/이산화탄소/일산화탄소 혼합가스를 각각 공급할 때 투과량은 온도와 압력에 상관없이 수소 분압 감소만큼 감소하였고 모든 경우 Sievert 법칙을 잘 만족시켰다. 투과 후 분리막의 XRD 결과로부터 V53Ti26Ni21 합금 분리막은 여러 혼합가스에 대해 안정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influence of co-existing gases on the hydrogen permeation was studied through a Pd-coated V53Ti26Ni21 alloy membrane. The hydrogen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Pd-coated V53Ti26Ni21 alloy membrane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pressure range 1-3 bar under pure hydrogen and hydrogen mixture gas with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at 450℃. Preliminary hydrogen permeation experiments have been confirmed that hydrogen flux was 5.36mL/min/㎠ for a Pd-coated V53Ti26Ni21 alloy membrane (thick: 0.5 mm) using pure hydrogen as the feed gas. In addition, hydrogen fluxes were 4.46, 5.20, 3.91mL/min/㎠ for V53Ti26Ni21 alloy membrane using H2/CO2, H2/CO and H2/CO2/CO as the feed gas respectively. Therefore, the hydrogen permeation flux decreased with decrease of hydrogen partial pressure irrespective of temperature and pressure when H2/CO2, H2/CO and H2/CO2/CO mixture applied as feed gas respectively and permeation fluxes were satisfied with Sievert's law in different feed conditions. It was found from XRD results after permeation test that the Pd-coated V53Ti26Ni21 alloy membrane had good stability and durability for various mixtures feeding condition.

저자
  • 전성일(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센터,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305-764) | Sung Il Jeon
  • 박정훈(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센터) | Jung Hoon Park 교신저자
  • 이용택(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305-764) | Yong Taek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