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품디자인에 있어 전형성과 심미성 요소(균형)의 상호작용과 조절변수에 의한 사용자의 심미적 반응에 관한 연구 KCI 등재

Consumer's Aesthetic Response to Direct, Mediating and Interactive Effects of Typicality and Form Aesthetics in Product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3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최근까지 제품디자인에 있어서의 조형요소의 심미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심미성 요인이 무엇인가\ulcorner"에 초점을 맞추어 왔을 뿐 각각의 심미적 요소들이 사용자의 심미적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에서 심미성 요소를 내용미와 형태미로 나누어 서로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심미적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더욱이 연구의 초점이 내용미 중 전형성을, 형태미 중 균형을 중심으로 서로의 심미적 반응의 영향정도와 관여수준과 국가와 같은 조절변수에 의해 심미적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제로 디자인 현장이나 기업에서 디자인에 있어서 심미적 영향요소를 적용하는 데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디자인의 심미성에 대한 이론적인 체계를 만들어가는 것에 기여하리라 본다. 기여하리라 본다.

Recently, design has emerged as a key factor of successful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reviewed the elements of form with a view point of addressing and defining the elements of aesthetics and how they influence consumer aesthetic response. Though past researches related to form aesthetics reported that form aesthetics exist as a single element with other sub-elements, this research made further investigations into form aesthetics and reported that form aesthetics in product desig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form aesthetics and content aesthetics. Empirical studies on each category was undertaken and from the results obtained, it was concluded that typicality is a dominant element in content aesthetics while balance is a dominant element in form aesthetics. Also,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ditional variables such as price and people on each category and it was observed that both content and form aesthetics elements are affected by conditional variables such as price, people. Furthermore, the study reports that both content and form aesthetics elements are mutually correlated and both categories affect user's aesthetics response. It is intended tha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theoretical knowledge of aesthetic elements and can be put to use by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ing companies.

저자
  • 홍정표 | Hong, Jung-Pyo
  • 조경숙 | Cho, Kyoung-Sook
  • 조광수 | Cho, Kwang-Soo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