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텍타이트와 흑요석의 보석학적 특징비교 - 중국 광동 텍타이트와 백두산 흑요석을 중심으로 - KCI 등재

Gemological Comparison between Gwangdong Tektite and Baikdusan Obsidi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7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천연유리로 만든 보석들의 보석학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국 광동성 마오밍산 텍타이트와 백두산에서 채취한 흑요석을 대상으로 편광 및 반사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비중 및 굴절율 측정, X-선형광분석, ICP-MS분석, X-선회절분석, 전자현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중국산 텍타이트와 북한산 흑요석은 모두 검고, 패각상 단구를 나타내며, 수 mm 두께로 연마하였을 경우에는 모두 짙은 갈색의 반투명한 특징을 나타낸다. 텍타이트는 4~10 cm 크기의 길쭉한 원통형 모양으로, 또는 직경이 3~5 cm인 구형으로 산출된다. 텍타이트의 표면에는 직경이 최대 3 mm인 함몰구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텍타이트의 모스경도는 5~5.5, 비중은 2.66이며, 단굴절을 일으키며, 굴절율은 1.51이다. 텍타이트 속에는 다수의 구형 기포가 분산되어 있으며, 규질성분이 높은 유리질물질이 존재한다. X-선회절 분석결과 비정질상태임이 확인되었다. 백두산 흑요석은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즉, 균질한 검은색의 흑요석과 백색 결정을 함유하고 있는 것 등이다. 주된 차이점인 굴절율은 1.49~1.50으로서 텍타이트보다는 작으며, 비중은 텍타이트보다 다소 큰 2.67~2.68을 나타낸다. 또한 구형 기포 내포물이 없는 대신 새니딘과 자철석 침상결정을 함유하고 있다.

The gemological charateristics of Gwangdong tektites and Baikdusan obsidians were investigated, using microscopy, density and refractive index measurements,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X-ray powder diffraction, and electron microprobe analysis. The Gwangdong tektites and Baikdusan obsidians are both black in colour and slightly trans-lucent with various shades of brown when cut into a few mm thick. Both the materials yield conchoidal fracture on broken surface. The tektites occur as tear-drop shapes, ranging from 4 to 10 cm long, and in spheres, from 3 to 5 cm in diameter. On the surface numerous shallow pits up to 3 mm in diameter are present. Mohs' hardness and specific gravity are 5 to 5.5 and 2.66, respectively. The tektites are singly refractive, with an refractive index of 1.51. Numerous spherical air bubbles are randomly scattered throughout the tektites, and silica-rich glass inclusions are occasionally seen. X-ray powder diffraction analysis verifies that they are non-crystalline. The Baikdusan obsidians show very similar properties to those of the Gwangdong tektites, especially in hardness, amorphous nature and fracture. Nevertheless, the Baikdusan obsidian can readily be distinguished from the Gwangdong tektites by refractive index (1.49~1.50), specific gravity (2.67 to 2.68), and inclusions (absence of bubbles and presence of sanidine and magnetite crystals).

저자
  • 김원사 | Kim, Won-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