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IS와 USLE를 이용한 아산만 유입 유사량 추정 KCI 등재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to Asan Bay Using the USLE and G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아산만으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Landsat-5 TM 위성영상과 NGIS 수치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기본도와 USLE 주제도를 구축하고,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을 이용하여 아산만 유역의 토양유실량을 추정하였다. 유사운송비와 포착률을 이용하여 아산만으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농업기반공사의 배수갑문 관리자료와 환경부의 담수호 부유물 측정자료로부터 구한 실측 유사량과 비교하였다. USLE와 유사운송비, 포착률을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ombined with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was used to estimate the soil erosion of Asan Bay experiment watershed in Korea. Spatial data for each USLE factors were obtained from the Landsat-5 TM remote sensing im

저자
  • 김상민(서울대학교 대학원 농공학과) | Kim Sang-Min
  • 박승우(서울대학교 농공학과) | Park Seung-Woo
  • 강문성(미국 Auburn 대학교) | Kang Moon-S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