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양액의 농도가 딸기 '싼타'의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on Growth, Fruit Quality and Yield of Strawberry 'Ssanta' in Hydropon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6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최근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에서 새롭게 육성된 '싼타' 딸기의 수경재배에서 적절한 배양액 농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2010년 9월 26일에 토양과 코코피트를 충진한 수경재배 벤치에 정식하고, 야마자키 조성 딸기배양액을 이용하여 처리별로 EC를 0.6, 0.8, 1.2 1.8dS·m-1로 급액하였다. 지상부 생육은 배양액 농도 차이에 따라 일부 차이를 나타내긴 하였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여 큰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과장은 모든 화방에서 EC 0.8dS·m-1 처리에서 가장 길었다. 제 2화방에서는 EC 0.8과 1.2dS·m-1 처리가 0.6과 1.8dS·m-1 처리보다 과장이 길었다. 제 3화방은 EC 0.8과 1.2dS·m-1 처리가 길었으며 그 다음으로 0.6이었고, 1.8dS·m-1에서는 월등하게 낮았다. 제 4화방에서는 EC 0.6과 1.2dS·m-1 처리 간에는 차이가 없고, 0.8이 현저하게 높고 1.8dS·m-1가 현저하게 낮았다. 과경은 EC 0.8dS·m-1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제 2, 제 3화방에서는 0.8과 1.2dS·m-1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C 0.6과 1.8dS·m-1에서는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과실의 평균 과중은 화방 간에는 첫 번째 화방과 제 2화방이 무거웠으며 갈수록 과중이 감소하였는데, 각 화방별 과중은 정화방에서는 EC 0.8dS·m-1에서 가장 컸고 EC 1.2dS·m-1에서 낮았다. 제 2와 제 3화방에서는 EC 0.8과 1.2dS·m-1에서 약간 높았고 0.6과 1.8dS·m-1에서 약간 낮았다. 제 4화방에서는 EC 0.8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고, 1.8dS·m-1에서 가장 낮았다. 과실 내의 가용성 고형물은 각 화방에 따라서 처리 간에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낮은 농도의 EC 0.6과 0.8dS·m-1 처리에서 높고, 높은 농도의 1.8dS·m-1 처리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실의 수량은 정화방에서는 배양액 농도 EC 0.8dS·m-1 처리에서 주당 수량이 가장 많았는데, 1.2와 1.8의 높은 농도처리 보다 0.6과 0.8dS·m-1 처리에서 수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제 2화방에서는 EC 0.6에 비하여 0.8dS·m-1 처리가 월등하게 수량이 많았으나 다른 처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 3화방에서는 EC 0.8과 1.2dS·m-1 처리에서 수량이 많고, 0.6과 1.8dS·m-1 처리에서 월등하게 낮은 수량을 보였다. 제 4화방에서는 EC 0.8dS·m-1에서 수량이 가장 많았으나 다른 처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에서 딸기 '싼타'의 수경재배에서 배양액의 EC는 0.8과 1.2dS·m-1가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s for strawberry 'Ssanta' bred at Gy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Nutrient solutions for strawberry, which made by Yamazaki, were supplied EC (Electrical Conductivity) 0.6, 0.8, 1.2, and 1.8dS·m-1 after planting on cocopeat medium during experiment period. Growth of shoot of strawberries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Fruit length showed the longest in EC 0.8dS·m-1 in all clusters. In the second flower cluster, fruit length showed longer in EC 0.8 and 1.2dS·m-1 than EC 0.6 and 1.8dS·m-1. In the third flower cluster, it showed the longest in EC 0.8 and 1.2dS·m-1, followed by 0.6 and 1.8dS·m-1. The longest was in EC 0.8dS·m-1 and the shortest in EC 1.8dS·m-1 in the fourth flower cluster. Fruit diame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but longest in EC 0.8 and 1.2dS·m-1 in all clusters. The heaviest mean fruit weight appeared in EC 0.8dS·m-1 in all flower clusters. And heavier in EC 1.2dS·m-1 in the second and third clusters. Also the weight was significantly light in plants grown in EC 0.6 and 1.8dS·m-1 in the second and third cluster. Soluble solids of fruit was the highest in EC 0.6dS·m-1 in all clusters. As the results,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optimum EC for strawberry 'Ssanta' was EC 0.8~1.2dS·m-1 in this experiment.

저자
  • 전하준 | Jun, Ha Joon
  • 변미순 | Byun, Mi Soon
  • 류습생 | Liu, Shi Sheng
  • 전의환 | Jeon, Eui Hwan
  • 박소득 | Park, So Deuk
  • 채장희 | Chae, Jang 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