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용담(龍膽)의 기내변이주(器內變異株) 유도(誘導)와 변이주(變異株)의 Gentiopicroside 함량(含量) KCI 등재

In vitro Variant Induction and Its Content of Gentiopicroside of Gentiana scabra BU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46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용담의 조직배양기술과 병행하여 기내변이주 유도와 배양체의 Gentiopicroside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1. 정아는 NaN3 0.001M~0.003M에서 48~74%의 생존율을 보였고, EMS 0.05M에서 36% 생존하였으나 생육치 못하고 고사하였으며 MNH 처리유래 식물체의 기내 생육은 양호하였다. 2. 측아는 NaN3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존율이 감소되었고 EMS는 전부 고사하였으며 MNU에서는 4~32%생존하였다. 배양 60일경의 기내 생육은NaN3와 MNU 모두 정아처리에 비하여 저조한 경향이었다. 3. 종자 처리후 발아율은 NaN3는 0.001M에서 41.4%인 반면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EMS는 저농도인 0.05에서만, 4.8% NMU도 1mM에만 2.8%를 보였다. 기내생육은 NaN3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생육을 보였고 EMS와 MNU 처리구는 생육이 불균일한 변이 발생을 보였다. 4. 용담 조직배양체의 gentiopicroside 함량비교에서 Callus는 40일 배양한 것이 0.038%, 80일 배양한 것이 0.051% 함유하였고 shoot는 신장형이 0.426%, 위축형이 2.710%였다. 특히 뿌리에서는 신장형이 0.883%, 위축형은 1.383%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mutant induction in Gentiana scabra BUNGE through the tissue culture techniques and comparison of gentiopicroside content in each mutant plants derived from tissue culture. In order to induce the mutants of Gentiam scabra, seed, apical and lateral bud were soaked in NaN3, EMS and MNU solutions and cultured on MS basal medium containing 0.5mg/l NAA, BA NaN3, MNU-treated buds survived about 50% but not survived in EMS treatment. Seed germination rate was extremely low in EMS and MNU treatments but various types of mutant plantlets were obtained by those treatments. 63% of elongated type and 37% of dwarf type were obtained from tissue culture treated by various mutagen. Gentiopicroside contents of regenerated plantlets was analyzed. Root of dwarf type contained more gentiopicroside(1.383%) than that of elongation type (0.083%).

저자
  • 성낙술 | Seong, Nak-Sul
  • 박충헌 | Park, Chung-Heon
  • 김관수 | Kim, Kwan-Su
  • 이승택 | Lee, Seoung-Tack
  • 장영희 | Chang, Yeong- 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