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약(芍藥) 재배년수(栽培年數)에 따른 근수량(根收量) 및 Paeoniflorin함량변화(含量變化) KCI 등재

Changes of Root Yield and Paeoniflorin Content by Cultivated Years in Paeonia lactiflora PAL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5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다년생(多年生) 약용작물(藥用作物)인 작약(芍藥) (P. lactiflora Pall.) 분주묘(分株苗) 2, 3, 4, 5년생(年生)에 따라 변화하는 생육특성(生育特性) 및 근수량(根收量), 병해(病害) 발생정도(發生程度), Paeoniflorin 성분(成分)의 함량변이(含量變異)를 조사하여 작약근(芍藥根)의 상품적 가치를 증가시키는 품질 규격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의성작약(義城芍藥)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년수(栽培年數) 경과에 따라 경장(莖長)과 지하부의 주근장(主根長) 및 주근경(主根莖)은 2~3년생(年生)에서 급격히 신장되어 3년생(年生)에서 거의 완료되었으며 경수(莖數)는 2, 3, 4, 5년생이 각각 4.6개, 9.5개, 11.7개, 13.3개로 많아졌다. 2. 10a당 근(根)수량은 3년생(年生) 1,302kg에 비해 4년생(年生)이 26%증수되었으며 5년생(年生)은 뿌리의 부패현상(腐敗現象) 등(等)으로 4년생(年生)과 비슷한 수량을 나타내어 수량면(收量面)에서 적정(適定) 재배년수(栽培年數)는 4년이었다. 3. 지상부 병해(病害) 발생정도는 재배년수(栽培年數)가 경과함에 따라 병해(病害) 발생도 증가하였으며 점무늬병의 발생이 가장 심했다. 4. 주(主) 약용성분(藥用成分)인 Paeoniflorin은 1994년에는 재배년수(栽培年數)가 경과함에 따라 함량(含量)이 증가하여 4년근(年根)이 4.06%로 가장 높았고, 1995년에는 일정한 경향없이 3년근(年根)이 3.14%로 가장 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냈다. 5. 열풍(熱風)으로 건조시(乾燥時) 뿌리 갈변(褐變)은 재배년수(栽培年數)가 경과할수록 심했으며 3년근(年根)이 수량(收量) 및 색택(色澤)의 품질면(品質面)에서 가장 좋았다.

Stem length, main root length and main root diameter showed rapid increasement in two-years-old and three-years-old peony. And there after, the increasement was almost finished. Occurrence of disease was increasing every cultivated year,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leaf spot was most serious. In propagation by root dividing method, the radix yield (kg/10a) was increasing every cultivated year. However, the difference of radix yield at four and five-years-old peony were not significant. The radix yield of four-years-old peony was higher 26% than three-years-old one. As cultivated year goes by, content of paeoniflorin was increasing then the content was highest at four-years-old peony (4.06%). In 1995, the content, had no certain tendency, was highest at three-years-old peony (3.14%). At hot air drying, browing of peony radix was increasing every cultivated year. If we consider radix yield and color, three-years-old peony was proper object of harvesting.

저자
  • 김기재 | Kim, Ki-Jae
  • 유오종 | You, Oh-Jong
  • 정연선 | Jeong, Yeun-Seon
  • 박소득 | Park, So-Deuk
  • 신종희 | Shin, Jong-Hee
  • 황형박 | Hwang, Hyung-Baek
  • 최부술 | Choi, Boo-Su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