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산(韓國産) 작약근(芍藥根) 함유(含有)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의 분리(分離) 및 분석(分析) KCI 등재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Paeoniflorin and Albiflorin in Korean Peony(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6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한국산 재배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에서 작약근의 주 활성물질로 평가되는 paeoniflorin과 albiflorin을 분리하였고. 국내 재배작약 10계통간에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재배작약으로 부터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을 분리하였고, 그 화학적 구조를 분광학적 방법 (UV, FT-IR, 1H·13C-NMR)으로 확인 하였으며, HPLC 상대순도는 각각 98%, 93%였다. 2. 국내 재배작약 10계통의 paeoniflorin함량을 조사한 결과 1.56%~4.04%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의성 9호가 1.56%로 가장 낮았고, 밀양 4호가 4.04%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재배 계통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국내 재배작약 10계통의 albiflorin함량은 의성 4호가 0.04%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풍기 27호가 1.98%로 가장 높아 계통간 차이가 뚜렸하였고, 조사된 10계통 중 풍기 계통은 0.10%~1.98%로 기타 계통보다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From Korean cultivated peony root, paeoniflorin and albiflorin, which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principal components of peony root, were isolated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methods (UV, FT-IR, 1H·13C-NMR) and their purities were 98% and 93%,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paeoniflorin and albiflorin in ten Korean cultivated peony lines were determined by reverse phase HPLC. The concentrations of paeoniflorin ranged from 1. 56 to 4.04% and those of albiflorin ranged from 0.04 to 1. 98% in ten Korean cultivated lines. In the ten cultivated lines, the concentrations of albiflorin in Punggi lines were higher than other lines.

저자
  • 정명근 | Choung, Myoung-Gun
  • 강광희 | Kang, Kwang-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