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율무 재배지(栽培地) 조명나방 발생생태(發生生態) KCI 등재

Occurrenc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Ostrinia furnacalis Guenee, in Adlay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6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硏究)는 율무 주산단지(主産團地)인 연천 지역(地域)에서 율무에 피해(被害)를 주는 조명나방에 대한 발생생태(發生生態)를 조사(謂査)하여 방제(防除)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율무조명나방은 연간(年間) 3회(回) 발생(發生)하였으며, 1화기(化基)는 5월 중순(中旬)~6월 하순(下旬), 2화기(化期) 7월 하순(下旬)~8월 중순(中旬), 3화기(化期) 8월 하순(下旬)~9월 중순(中旬)이었으며 3화기(化期) 유충(幼蟲)이 율무 그루터기나 줄기측에서 월동(越冬) 후(後) 이듬해5~6월(月)에 번데기 로 되었다. 2. 유충(幼蟲) 월동(越冬) 부위(部位)는 지상부(地上部)에서 68.4%, 지제부 이하(以下)에 31.6%가 분포(分布)하였고 지상부(地上部) 식물체중(植物體中) 1절§in4절까지 분포(分布)하였다. 3. 조명나방의 각(各) 태별(態別) 소요기간(所要期間)은 난기간(卵基間) 3~4일(日), 유충기간(幼蟲期間) 16§in36일(日), 용기간(踊期間) 4~11일(日), 성충(成蟲)의 수명(壽命)은 6~12일(日)이었다. 4. 율무 조명나방의 시기별(時期別) 율무 식물체가해부위(植物體加害部位)는 6月까지 잎, 7月 이후(以後)는 줄기를 식해(食害)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율무 조명나방에 의한 율무 피해(被害)은 7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9~10월(月)에 피해경율 33.7~37.6%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Ostrinia furnacalis(Guenee) in Yonchon, northern part of Kyonggi province, where it is main production region of adlay in Korea. The Asian corn borer in adlay field had three generations a year. The first stage of adult activity was greatest from middle May to late June, the second from late July to middle August and the third from late August to middle September. The egg period was 3~4 days. The longevity of adult was 7~11 days. The days of each development stage from egg to adult were 51~61, 33~42 and 29~37 days in 1st, 2nd and 3rd generations, respectively. The overwintering stage of Asian corn borer was the last instar larvae and it overwintered in the adlay stubbles.

저자
  • 장성원 | Chang, Seog-Won
  • 이은섭 | Yi, Eun-Sub
  • 김기중 | Kim, Ki-Jung
  • 이효성 | Lee, Hyo-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