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둥굴레의 상배축(上胚軸) 휴면타파(休眠打破)와 유묘생장(幼苗生長)에 대한 지베렐린 및 저온 처리효과 KCI 등재

Effect of Gibberellin and Chilling Treatments on Breaking Epicotyl Dormancy and Seedling Growth of Polygonatum odoratum Dru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65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파종부터 유묘출현까지 2년이 소요되는 둥굴레의 종자번식에서 육묘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는 우선적으로 적절한 상배축 휴면타파 방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시험은 둥굴레의 상배축 휴면타파 방법 을 설정 하고자 GA3 1.0 mM을 2일 간격으로 2회 또는 4회 (4일 : 8일) 관주하거나, 4, 6, 8, 12주간 3℃의 저온처리를 가한 후 유묘 출현과 생장에 관련된 형질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GA3 처리시 자엽(子葉) 파열수(破裂數)는 처리 직후에는 4일 보다 8일 처리에서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처리효과가 소멸된 반면, 상배축 신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출현 유묘가 전혀 없었다. 따라서 GA3을 이용한 둥굴레의 상배축 휴면타파는 실험실에서 소규모로 행할 경우는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상토를 이용한 다량육묘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GA3 용액의 관주처리시 자엽초는 파열되나 상배축이 여러 겸의 자엽초로 싸여져 있기 때문에 GA3 용액에 노출되지 않은 결과로 해석된다. 한편 자엽초 파열과 상배축 신장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저온처리는 다량육묘에 이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입묘 정도는 저온처리 기간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적어도 6주의 저온처리가 가하여져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Seed-propagation of Solomon's seal (Polygonatum odoratum) takes 2 years to shorten the period for becoming a practical method. The experiment was done to establish a proper method of breaking the epicotyl dormancy in bulk seed-propagation. Seedlings with a bulbil were treated with GA3 every 2 days for 4 or 8 days and chilling treatments at 3℃ were enforced for 4, 6, 8 or 12 weeks. Emergence- and growth-relate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mmediately after the treatments, 3 and 6 weeks later. Rate of cotyledonary sheath rupture immediately after GA3 treatment was greater in its 8-day treatment than in 4-day although its effect disappeared later. However, any epicotyl treated with GA3 solution did not elongate so that new seedlings disemerged over the bed soil. That resulted from not breaking the epicotyl dormancy since GA3 did not rupture all of the cotyledonary sheath formed with several sheets and consequently, the solution did not reach it. The GA3 treatment for bulk seed-propagation, therefore, was impractical method. On the contrary, the chilling treatment was able to be applied to the seed-propagation because of getting the cotyledonary sheath rupture and the epicotyl elongation. Seedling emergence and its growth after chilling treatment were influenced by chilling period although required at least over 6-week treatment for satisfactory results.

저자
  • 강진호 | Kang, Jin-Ho
  • 김동일 | Kim, Dong-Il
  • 배기수 | Bae, Kee-Soo
  • 김석현 | Kim, Seok-Hyeon
  • 정종일 | Chung, Jong-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