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경제거가 지모의 수량 및 조사포닌함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Peduncle Cutting on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7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1. 종자형성계통군의 생엽중은 5월30일, 6월30일 및 6월15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 29~12% 무거웠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생엽중은 6월15일, 5월30일 및 6월30일 화경제거 순으로 무제거보다 약21~4% 무거웠다. 2. 종자형성계통군의 생근경중은 5월30일, 6월15일 및 6월30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41~33% 증수하였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생근경중은 5월30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 3% 증수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종자형성계통군의 메탄올엑스함량은 5월30일 화경제거와 6월 15일 화경제거가 39.77% 및 39.17%로 6월 30일 화경제거보다 높았으며, 유식물체 형성계통군의 메탄올엑스함량은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4. 종자형성계통군의 조사포닌함량은 5월 30일 화경제거가 7.50%로 무제거 (5.67%)보다 높았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조사포닌함량은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In this study, effects of wiling peduncle on production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were investigation. The peduncle cutting were conduct on May 30, June 15, June 30, non-cutting of seed propagation type and young plant propagation type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The highest rhizome yield was 276.9g/plant on May 30, cutting puduncle in seed propagation type. The rhizome yield at seed propagation type was increased about 40.8%, compared to that at non-cutting. Crude saponin content in rhizome was 7.50% on May 30, cutting puduncle in seed propagation type. The crude saponin content at seed propagation type was increased about 32.2%, compared to that at non-cutting.

저자
  • 한승호 | Han, Seung-Ho
  • 최병준 | Choi, Byung-Jun
  • 신철우 | Shin, Cheol-Woo
  • 손석용 | Son, Seok-Young
  • 박상일 | Park, Sang-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