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닐피복이 식방풍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Vinyl Mulching on Growth and Yield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78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육묘한 식방풍을 공시하여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 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육표이식 무피복 처리와 노지직파 무피복처리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아기간은 폿트육묘시 8일이었고 노지직파는 40일이었으며 출아율은 폿트육묘시 74%였으나 노지직파에서는 17%로 크게 저조하였다. 초장, 엽수, 경직경 등 지상부생육량은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육묘이식 무피복〉노지직파 무피복처리구 순으로 많은 경향이었다. 주근의 길이는 육묘이식 무피복구가 유의하게 짧았으나, 피복처리구와 노지직파 무피복구는 비슷하게 긴편이었다. 주근의 굵기는 비닐피복구가 무피복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굵었고 노지직파 무피복구가 가장 가늘었다. 지근의 수는 육묘이식한 것이 직파한 것보다 4.7~7.1개 많았다 건근비율은 노지직파 무피복구에서 30.5%로 가장 높고 육묘이식구에서는 무피복구가 높았으머 비닐피복구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10a당 건근수량은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 542kg, 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506kg, 육묘이식 무피복 419kg으로 노지직파 7kg에 비하여 각각 52, 42, 17%증가하였으며 식방풍의 재배는 육묘이식하되 백색비닐로 피복하여 재배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 of mulching on growth and yield of Peucedanum japonicum. Time from sowing to germination was 8day at raising seedling(RS) and 40day at direct sowing(DS). The order of goodness in top part growth as follows : RS+white vinyl mulching (WVM), RS+black vinyl mulching (BVM), RS+no mulching(NM) and DS+NM. Tap root length at RS + NM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ose at the others. Tap root at the others was about same length. Tap root diameter was significantly larger at vinyl mulching than at no mulching and the thinnest at DS+NM. The number of supporting root at RS was more than DS as much as 4.7~7.1. Rate of dried root weight to fresh weight was highest(30.5%) at DS+ NM and low at vinyl mulching. Dried root yield per 10a was 542kg at RS+WVM, 506kg at RS+BVM, 419kg at RS+NM and 357kg at 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aising seedling and white vinyl mulching was good for culture of Peucedanum japonicum.

저자
  • 김재철 | Kim, Jae-Chul
  • 김정혜 | Kim, Jeong-Hye
  • 박소득 | Park, So-Deuk
  • 최부술 | Choi, Boo-Su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