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파종시기 및 재식밀도가 시호의 생육 및 Saikosaponin 함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Density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aikosaponins Content in Bupleurum falcat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84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국내 재래종 정선시호와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시호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적정 파종시기 및 재식밀도의 구명과 saikosaponin 생산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구명하여 시호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시기와 재식거리에 따른 시호품종간에서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분지수는 적었고 초장은 길었다. 1년생의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지상부중은 적었고 생근중과 건근중은 높았으며, 2년생에서는 정선시호와 삼도시호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Saikosapon함량은 1년생 또는 2년생의 정선시호가 삼도시호보다 saikosaponin a 및 total saikosaponln함량이 높았다. 2.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특성은 1년생이나 2년생의 시호 모두 4월 30일 파종구에서 경태와 분지수가 가장 굵고 많았으며, 1년생 시호에 있어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saikosaponin c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3. 1년생 시호는 소식일수록 초장, 경태, 분지수, 지상부중, 그리고 근경, 생근중, 건근중, 지근수 등의 생육이 촉진되었으나 2년생 시호는 소식에서 주근장만 길었다. 4. 품종, 파종시기 및 재식거리에 있어서 상호작용은 1년생 시호만이 지상부중, 주근장, 근경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1년생의 정선시호는 4월10일에 파종하면서 재식밀도를 30×15 cm로 재배한 것에서 지상부중, 근경 및 TSS 함량이 가장 증가되었으며, 1년생 삼도시호는 3월20일에 재식밀도를 30×10 cm로 재배한 것에서 지상부중과 근경이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planting dates and density of one year old Bupleurum falcatum L. to improve its productivity and quality. Two cultivars of B. falcatum, originated from Jeongseon, Korea and Mishima, Japan were used. Some of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Jeongseon cultivar showed less stem branches and shoot weight compared to Mishima. However, Jeongseon cultivar showed tall plant height, high root fresh and dry weight, and high levels of saikosaponin, but low saikosaponin content than that of Mishima. Both cultivars seeded on March 20 had long main root, big stem diameter, few stem branch, and high saikosaponin c content compared to those of late seeded one, April 30.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height, stem diameter, stem branch number, shoot weight, root diameter, root fresh and dry weight, and root branch number were increased in a low planting density(30 × 15cm), but the content of saikosaponin was not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Jeongseon and Mishima cultivars seeded on April 10 with 30 × 15cm planting density and April 30 with 30 × 10cm planting density contained the highest total saikosaponin levels, respectively. However, average root dry weight were not affected by planting time or density in both Bupleurum cultivars.

저자
  • 이상철 | Lee, Sang-Chul
  • 손태권 | Son, Tae-Kwon
  • 김길웅 | Kim, Kil-Ung
  • 이호 | Lee,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