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약 식물체 부위별 성분 함량 변이 KCI 등재

Variation of Bioactive Component Contents in Plant Parts of Paeonia lactiflora Pal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8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4년생 의성작약을 재료로 하여 작약의 주 이용부위인 약근 외에 뇌두, 줄기, 잎과 같은 작약 식물체 각 부위로 시료를 구분하고, 또한 작약근의 경우 관행적 법제시 박피를 통해 제거되는 코르크층과 코르크층의 유 무에 따라 유피근 및 거피근으로 구분하여 각 시료에 함유된 작약 주요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 분포를 검토한 결과 작약 식물체 부위별 paeoniflorin, albiflorin 및 phenolic compounds의 각 함량은 뇌두가 뿌리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 평가되는 gallic acld 및 benzoic acid는 작약의 잎과 줄기에도 상당히 많은 양이 존재하였고, 특히 잎에는 paeoniflorln도 약 2.3%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번식용으로만 이용되어온 작약의 뇌두도 약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작약의 잎 및 줄기도 gallic acid 및 그 유도체들의 source가 될 수 있으므로 이들 부위의 이용성도 체계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작약근에 함유된 유용 생리활성 성분들은 목부와 껍질부위의 코르크층에 함께 존재하였다 특히 albiflorin, gallic acid, benzoic acid 및 (-)-epicatechin 성분은 코르크층에 많이 존재하였고, 목부에 더 많은 양이 존재하는 성분은 paeoniflorin, (+)-taxifolin 3-O-β-D-glucopyranoside 및 (+)-catechin이었다. 결국 작약근 이용시 코르크층을 벗기면 albiflorin을 포함한 유용성분의 손실이 발생되고, phenol 성 물질의 분비로 외면의 갈변이 유도되므로 상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작약근의 이용 시 거피를 하지 않는 것이 유용성분의 활용 면에서도 유리하고, 수치작업에 대한 노력이 감소되므로 경제적 측면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Comparative analysis of paeoniflorin, albiflorin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as bioactive components of peony was performed by Reverse Phas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 using the four- year-old peony which were different plant parts and pretreatment, such as removing or unremoving the cork layer of peony root before drying. The contents of paeoniflorin, albiflorin, (+)-taxifolin 3-O-β-D-glucopyranoside, (+)-catechin and (-)-epicatechin were the highest in rhizome part, but those of gallic acid and benzoic acid in the leaves were higher than other parts. The contents of albiflorin, gallic acid, benzoic acid and (-)-epicatechin in the cork layer were higher than in those of the core, but the contents of paeoniflorin, (+)-taxifolin 3-O-β-D-glucopyranoside and (+)-catechin in the core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rk layer. In general, the rhizome part of peony root has been used only propagation purpose, but this part contained high contents of bioactive component. Therefore, it is needed that medicinal application of rhizome part in peony root was firmly investigated. Also, In the use of peony root for medicinal purpose, the use of peony root with cork layer can be efficient way on the practical use of useful components and the reduction of labor for removing the cork layer.

저자
  • 정명근 | Choung, Myoung-G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