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차광조건에서 더덕의 광합성속도에 미치는 주요 요인 KCI 등재

Main Factors affecting on Photosynthesis under shading condi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8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차광처리의 약광상태에서 더덕의 광합성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구명하여 물질생산에 관한 생리생태적 반응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몇 가지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광처리한 더덕의 엽위별 광합성속도는 처리 후 44일째에 뚜렷히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 정도는 상위엽보다 하위엽에서 현저하였다. 2. 광합성속도와 비엽면적은 부(負)의 1차회귀직선 상태를 보여 차광하에서 잎이 얇아지는 경향이었으며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 기공전도도와 SPAD는 모두 정(正)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3. 광합성속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비엽면적(SLA), SPAD, 기공전도도, 수분퍼텐셜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4요인에 대해서는 중사관계수가 r=0.848**로 나타났으며 기공전도도의 표준편회귀계수가 가장 높아 광합성속도에 가장 영향이 컸으며 그 다음으로 SLA, SPAD 및 수분퍼텐셜의 순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ain traits related to photosynthesi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hotosynthetic rate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shaded leaves of plant than in non-shaded leaves of plant after shading treatment for 44 days.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net photosynthetic rate and SLA(specific leaf area). However,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linear equation were different and were highly significance. From the above results, net photosynthetic rate of shading treatment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in the same SLA. We also found that there were correlation between stomatal conductance and SPAD as well as net photosynthetic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PAD value, SLA, stomatal conductance and leaf water potential showed a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of r=0.848**. From the results, out of 4 factors(SPAD value, SLA, stomatal conductance, leaf water potential) stomatal conductance was main factor in the view points of partial regressing.

저자
  • 이충열 | Lee, Chung-Y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