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녹차와 두충 잎 추출물 처리에 따른 콩나물의 생장 및 형태적 특징 KCI 등재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sistics of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Leaf Extracts of Thea sinensis L. and Eucommia ulmoides Oliv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0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식물잎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을 처리한 콩나물이 시판되고 있다. 녹차잎 추출물을 처리한 콩나물과 상대적으로 세근형성을 더욱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두충잎 추출물의 처리호과를 비교하고자 녹차잎과 두충잎 추출물에 침종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재배일수에 따른 세근형성,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충잎과 녹차잎 추출물 처리 모두 풍산나물콩과 소원콩 보다는 준저리에서 하배축 길이가 7cm 이상의 비율이 현저히 낮은 반면, 발아는 되었으나 4cm 이하의 비율을 현저히 증가 시켰다. 이들 추출물 처리에 대한 하배축, 뿌리 및 전체길이, 하배축 중간과 hook부분 직경, 각부위 및 전체 생체중에 대한 품종별 반응도 하배축 구성 비율과 유사하였다. 2. 두충잎과 녹차잎 추출물 처리 모두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하배축 길이가 4~7cm, 4cm 이하 및 미발아개체의 비율 감소로 7cm 이상의 비율이 증가되었다. 하배축, 뿌리 및 전체길이, 하배축 중간과 hook부분 직경, 하배축과 뿌리 무게의 증가로 전체 생체중은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증가되었다. 3.녹차잎 추출물 처리에 비하여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세근형성이 지연되고 개체당 형성된 세근수도 적고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증가정도가 적었다. 하배축과 뿌리 길이, 하배축 굵기, 개체당 전체생체중에서도 녹차잎 추출물보다는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작고 적어 콩나물 생장에 대한 억제효과는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Soybean sprouts presoaked to leaf extracts were on sale as taking a growing concern about wellbeing fo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ects of culture period after presoaking tea (Thea sinensis L.) and hard rubber tree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extracts on lateral root formation,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sprouts. Seeds of three cultivars, Pungsannamulkong, Sowonkong and Junjery, were imbibed for 5 hours into 10% solutions immediately before 5, 6 and 7 day cultures. The cultured sprout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to calculate their composition rates on the base of hypocotyllengths; >7 cm (A),4 to 7 cm (B),< 4 cm (C) and not germinated (D),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fresh and dry weights were measured. Rate of A was the lowest in Junjery of the three cultivars, while that of C showed reverse result compared to A. Similar results to that of A were observed between the three cultivars in sprout length including hypocotyl and root, diameters in middle and hook parts of hypocotyl, total fresh and dry weights. Regardless of tea and hard rubber tree leaf extract treatments, longer culture periods increased rate of A due to decrements of B, C and D, and also did the growth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mentioned above. Although longer culture periods reduced the increment of lateral roots, the latter treatment was more delayed in their formation and less in the roots per sprout than the former one. The growth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bove were less in the latter treatment than in the former one in general, meaning that hard rubber tree leaf extract could more repress growth of soybean sprouts than tea leaf extract.

저자
  • 강진호 | Kang, Jin-Ho
  • 박철종 | Park, Cheol-Jong
  • 윤수영 | Yoon, Soo-Young
  • 전승호 | Jeon, Seung-Ho
  • 허창영 | Her, Chang-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