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로쇠와 우산고로쇠 나무의 부위별 항암 및 면역조절능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Anticance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in the different parts of the Acer mono Max. and Acer okamotoan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2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인간 정상 폐세포인 HEL299을 이용한 세포 독성을 살펴본 결과, 각 추출물은 1.0 mg/ml의 농도에서 최고 19.5%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암활성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가지의 암세포를 이용하였는데, AGS, A549, MCF-7, Hep3B에서 수피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55% 이상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암세포의 생육활성에 대한 정상 세포의 세포독성 비로 나타낸 선택적 사멸도는 고농도에서는 모두 3이상으로 나타났다. B cell과 T cell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생육 촉진 실험에서는, BT cell 은 배양 5일째 수피 추출물이 각각 7.5×104cells/ml, 8.2×104cells/ml로 가장 높은 세포농도를 나타냈다. 면역세포를 이용한 cytokine의 분비량 측정실험에서는 수피 추출물이 배양 시간에 따른 cytokine의 분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세포의 TNF-α의 분비량은 6일째 최고의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수피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7-8 배가량 정도 더 높은 분비량을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IL-6의 경우 6일째 최고의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수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산고로쇠 수피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에 의한 NK cell의 면역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배양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우산고로쇠 수피 추출물에서 B cell의 경우 18.0×104cells/ml, T cell의 경우 17.2×104cells/ml으로 가장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고로쇠와 우산고로쇠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유용성분 분리와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다각적으로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cancer activities and immuno modulatory activities in the several parts of the A. mono and A. okamotoanum. The cytotoxicity of 1 mg/ml of the water extracts on normal human lung cell(HEL299) was 〈 19.5%. The anticancer activity of all extracts were increased in over 55% against AGS (stomach adenocarcinoma), A549 (lung adenocarcinoma), Hep3B (liver adenocarcinoma, and MCF-7 (breast adenocarcinoma) cells. The growth of human immune B and T cells was improved of A. mono and A. okamotoanum in adding 1.0 mg/ml concentration. The secretion of the IL-6 and TNF-α of human immune B and T cells was increased with all extracts of A. mono and A. okamotoanum. All extracts of. A. mono and A. okamotoanum increased NK cell grow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rks and woods extracts of A. mono and A. okamotoanum had useful biological activities. In addition, bark of A. okamotoanuim showed the highest anticancer and immune activities.

저자
  • 김철희 | Kim, Cheol-Hee
  • 권민철 | Kwon, Min-Chul
  • 이학주 | Lee, Hak-Ju
  • 강하영 | Kang, Ha-Young
  • 최돈하 | Choi, Don-Ha
  • 이현용 | Lee, Hyeon-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