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색미와 향미 품종의 지방질함량 및 지방질의 조성 KCI 등재

Contents of Total Lipids and Their Composition in Colored and Aromatic Rices Cultiv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3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유색미인 흑진주벼 등 5종, 일반미인 동진벼, 향미인 향남벼을 대상으로 이들 품종의 현미 중에 함유된 지방질의 함량과 지방질의 조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1. 총지방질 함량은 건물기준으로 2.04 - 4.68%로 Tohoku 149호, 한산흑미, 상해향혈라 순으로 많았고 흑남벼, 향남벼와 동진벼에서는 비교적 적었으며 그들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총지방질의 조성은 sterol ester & hydrocarbon,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diglyceride, free sterol 등 5종이 동정되었다. 그중 triglyceride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diglyceride 와 free sterol의 비율이 높았다. 일반미와 유색미 및 향미간에 비교했을때 triglyceride의 비율은 향미와 유색미가 일반미보다 낮은 반면 diglyceride의 비율은 향미와 유색미에서 일반미인 동진벼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3. 총지방질 중 지방산 조성은 모든 품종 다같이 linoleic acid, oleic acid 및 palmitic acid가 주된 지방산이었고 linolenic, stearic acid은 소량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erucic acid는 일반미인 동진벼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양적으로 많은 지방산을 품종별로 비교해 보면 oleic acid는 한산흑미가 41%로 가장 많았고, 그외 품종은 32-37% 범위이었다. 또한 linoleic adid 향남벼와 상해향혈라는 각각 37%그외 품종은 32 - 36%의 범위이었다.

The contents of total lipids and their components of brown rice grain were studied for 5 colored rice cultivars, 1 aromatic rice cultivar and 1 normal rice cultivar grown in Korea. The total lipid contents ranged 2.04 to 4.69% based on total dry weight. The Tohoku #149 showed the highest content which was followed by Hansanheukmi and Sanghaehyang-hyeolna. The lowest content were observed in three cultivars, Heuknambyeo, Hyangnambyo and Dongjinbyeo which showed no difference among cultivars. The main classes of the total lipid were triglyceride, diglyceride, free sterol, free fatty acid and sterol esters in all cultivars examined. The ratio of triglyceride in total lipid was high in colored rice and aromatic rice compared to Dongjinbyeo which is normal rice cultivars, but the ratio of diglyceride was high in Dongjinbyeo. The major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e cultivars examined were linoleic acid, oleic acid and palmitic acid. There was a varietal difference in fatty acid composition, for example, erucic acid was detected in aromatic and colored rices cultivars, while none of this compound was found in Dongjinbyeo.

저자
  • 이종철
  • 김영회
  • 김창영
  • 변종영
  • 신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