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삼 탄저병에 대한 항균성식물의 탐색과 이용 KCI 등재

Screening and Utilization of Antifungal Plant against Ginseng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4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16과 20종의 공시 식물체 중 양파(Allium cepa), 대황(Rheum undulatum) 및 황련(Coptis japonica) 등의 추출액이 인삼 탄저병균(C. gloeosporioides)에 대해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양파와 대황은 배지내의 추출액 농도가 1.0% 이상일 때 균사 생장억제 효과가 인정 되었고, 황련의 추출액은 배지 내의 농도가 0.5% 이상일 때에도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50% 이상으로 나타나 공시된 식물체 추출액 중에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양파의 추출액은 10.0% 희석농도에서는 60% 이상의 발아 억제 효과가 있었고, 대황의 추출액은 2.0% 그리고 황련의 추출액은 1.0%의 희석 농도에서도 포자 발아억제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나 황련추출액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양파와 대황의 추출액은 2.0%의 희석농도에서는 어느 정도 방제 효과가 있었으나 1.0% 이하의 희석 농도에서는 효과가 많이 떨어졌고, 황련의 추출액은 1.0%의 희석농도에서도 50%이상의 방제 효과가 있었으나, 3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대조약제인 Mancozebwp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상당히 떨어지는 경향이 었다. 세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10.0%의 희석농도에서는 인삼 잎의 엽육이나 엽맥이 갈변하는 등의 약해의 징후가 나타났고, 황련의 추출액은 2.0%의 희석 농도에서도 약간의 약해 징후가 관찰되었다.

Crude extracts from 20 species of plants 16 familie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three plant extracts of them were applied to Ginse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for Ginseng anthracnose control. Among the crude extracts from 20 species being tested, it of A. cepa, R. undulatum and C. japonica showed considerably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germination of C. gloeosporioides.. Ginseng anthranose was controlled at 2% concentration of A. cepa and R. undulatum and 1% C. japonica extract, but control value of three plant extracts was inferior to Mancozeb WP. Phytotoxic symptoms were observed in the leaves of ginseng with exogenous foliage application of 10% concentration of three plant extracts and 2% concentration C. japonica extract but not observed at 1% concentration.

저자
  • 도은수
  • 길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