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 종의 국화과 식물의 항산화 쵸과 KCI 등재

Antioxidative Effects of Several Compositae Pl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5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전남 순천지역 들판에서 채취한 수종의 국화과 식물의 항산화 능력을살펴보았다. Rancimat와 TBA 방법을 이용하여 국화과 식물 중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난 서양민들레, 조뱅이, 쑥을 선발하였다. 유지 산화안정도에 대한 실험에서 BHT와 ascorbic acid가 각각 3.86과 2.43 AI(Antioxidative Index)를 나타냈고 한련초 잎이 1.51 AI를 나타냈다. 이것은 서양민들레 잎이 유지산화안정도에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한편 건조된 분쇄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장기간의 산화 억제에 대한 TBA실험에서 저장 4주 째에 BHT, ascorbic acid가 각각 0.05와 0.09 TBARS치를 나타낸 반면, 서양민들레 잎은 0.12의 수치를 나타내 대조구 1.01 TBARS치 보다 월등히 낮은 수치를 보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서양민들레, 조뱅이, 쑥 등의 국화과 식물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 식물체들은 기존의 인공 항산화제에 대한 하나의 대체수단으로서 식물유래 천연 항산화제로의 개발 가능성 을 시사해 주었다.

Aerial parts of Compositae plants were harvested from pastures and crop fields of Sunchon area at vegetative stage to determine their antioxidant activity. Among 13 species, three species Taraxacum officinate, Breea segeta, and Artemisia princeps were selected as potent plant materials. Through measurement by Rancimat and TBARS method, antioxidative effect was the greatest in Taraxacum officinate among plant species. Antioxidative index (AI) investigated by Rancimat showed Siegesbeckia glabrescensi was 1.51 while commonly-used antioxidants, BHT and ascorbic acid were 3.86 and 2.43, respectively. The highest TBARS value was also obtained from Taraxacum officinate(0.18) at 4 weeks after storage, indicating the plant ha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during long time. Even though TBARS value (0.18) in Taraxacum officinate sample showed lower in all plants than two synthetic antioxidants(0.05-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plants were much higher than that of a control (1.01).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nts have antioxidant potential as an alternative natural antioxidant based on natural plant resources.

저자
  • 천상욱
  • 김영민
  • 한승관
  • 최성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