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부 발아기간 중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변이 KCI 등재

Change in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Enzyme Status of Cowpea During Germin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919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동부 종자를 7일 동안 재배하여 각 발아 일수별 새싹나물의 생육,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차이를 검토하였다. 발아 일수별 동부의 신장과 생체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olin-Denis방법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은 건종자(DS), 침종종자(IS), 발아 후 1일묘(1DOS), 3일묘(3DOS), 5일묘(5DOS), 7일묘(7DOS)에서 각각 63.9, 56.8, 46.4, 36.0, 29.9, 32.2mg kg-1로 나타나 건종자에서 가장 높았고, 발아일수가 길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p 〈 0.05).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건종자, 침종종자, 발아 후 1일묘, 3일묘, 5일묘, 7일묘 순으로 각각 87.3, 41.2, 30.4, 27.4, 28.1, 17.1%로 건종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아일수가 길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발아 후 7일묘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효소 활성은 APX와 CAT 활성은 건종자, 침종종자, 발아 후 1일묘, 3일묘, 5일묘, 7일묘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POX 활성은 발아 후 3일묘부터 급격히 증가하다 7일묘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SOD 활성은 건종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발아 후 1일묘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물질과 그 활성간의 상관관계는 APX와 CAT 활성(r2= 0.9574)간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CAT와 POX 활성간, POX와 DPPH 활성간, APX와 POX 활성간 순으로 각각 0.9427, 0.8509, 0.8471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생리활성물질 중 총 페놀은 총 플라보노이드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고 이는 항산화성과 항산화효소 활성에 더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phenolics and flavonoid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for the extracts from cowpea seed and sprouts. Plant length and weight of cowpea sprou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7 days after seeding. Total phenolics level [mg chlorogenic acid equivalents (CAE) kg-1 DW] was highest in dry seed (DS) extracts of cowpea (63.9mg kg-1), followed by imbibed seed (IS) (56.8mg kg-1) and 1-day-old sprout (1DOS) extracts (46.4mg kg-1), and significantly reduced with increase of sprout age (p 〈 0.05).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all the samples showed same tendency to the results of total phenolics level, and dose-dependently increased.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radica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DS (87.3%) and IS (41.2%) than in cowpea sprouts from 1DOS to 7DOS, ranging from 17.1 to 30.4%. Antioxidant enzymes, APX, POX, and POX activities were highest in 7DOS and lowest in DS. SOD activity showed much higher activity in sprouts and in seed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hysiological-active substance and the activity was highest between APX and CAT activities (r2= 0.9574). Especially, total phenolics content was more highly correlated with antioxidant or with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than was total flavonoid level.

저자
  • 천상욱 | Chon, Sang-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