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홍수터의 하안수림대 조성을 위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lanning of Riparian Forest in Flood Pla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6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기존 국내 하천복원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홍수터에 하안림을 조성하고자, 국내에서 훼손되지 않은 자연하천 90개소를 선정하고 하천식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중에서 귀화율이 5% 이상인 하천과 계곡의 횡단면유형(valley 유형)이 홍수터가 발달하지 않는 하천 조사구의 결과는 제외시키고, 최종 49개 조사구 하천의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하천유형에 따라서 공통적으로 높은 빈도로 출현한 식물군락 및 동반종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중북부(위도N 37~37.9˚)에서는 신갈나무군락 시무나무군락 버드나무군락, 중부(위도N 36~36.9˚)에는 버드나무군락, 남부(위도 34~35.9˚)의 경우 졸참나무군락이 대표적인 식물군락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고도에 따른 하천유형에서는 고도 200m 미만인 하천에서는 버드나무군락이, 고도 200~500m 에서는 졸참나무군락과 달뿌리풀군락이 대표군락이었으며, 고도 500m 이상에서는 자연적으로 홍수터가 발달하는 하천이 없었다. 아울러 하천규모를 지시하는 저수로의 수면폭에 따라서 대표군락을 도출하였는데, 저수로 수면폭이 20m 미만인 경우 졸참나무군락, 20~100m 에서는 버드나무군락, 100m 이상의 하천에서는 버드나무군락 산뽕나무군락 선버들군락이었다. 그리고 이 결과를 근거로 홍수터의 하안림 조성을 위한 하천유형별 수종을 선발하고, 수리검토결과를 참고하여 실무에서 실용 가능한 식재패턴을 제시하였다.

As a part of improving the effect of stream restoration, the study selected 90 domestic natural streams that are not damaged and researched their riparian vegetations. Among them, the results of streams, whose naturalized ratio were more than 5 % and valley type flood plains were not developed, were excluded. By using the results of final 49 streams, plant communities and companion species that commonly appeared in high frequency, depending on stream type, were drawn. The result revealed that Quercus mongolica community, Hemiptelea davidii community and Salix koreensis community were representative in the mid-northern district (latitude: N 37~37.9˚) with Salix koreensis community in the central district (latitude: N 36~36.9˚) and Quercus serrata community in the southern district (latitude: 34~35.9˚). For the stream type depending on altitude,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were representative in the altitude of 200~500 m and there was no stream, in which flood plain is developed naturally, in the altitude of more than 500 m. In addition, the study drew representative communities depending on width of stretches of water at mean water level indicating the size of stream. Quercus serrata community was major vegetation at sites which are less than 20 m wide and Salix koreensis community was common at sites which are more than 20 m and less than 100 m wide of stretches of water at mean water level. Meanwhile the major vegetations at sites which are more than 100 m wide were Salix koreensis community, Morus bombycis community and Salix nipponica community. The study selected the kind of tree for planning riparian forest in flood plain by stream type on the basis of the result and suggested tree planting pattern that can be used in actual work by referring to the result of hydraulic review.

저자
  • 유영한 | You, Young-Han
  • 신범균 | Shin, Beom-Kyun
  • 김혜주 | Kim, Hyea-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