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 저층의 저질 조사 (I) - 저질 조사의 중요성과 분석에 관하여 - KCI 등재

Study on the Sediment Quality in Bottom Water (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1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수 저층의 퇴적물에서는 자체 내에서의 물질이동과 변환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질과 수계 자체에서 생성된 여러 물질들이 침강하고 퇴적되고 있다. 또한 퇴적물에서 수층으로 물질들이 용출하는 등 저층의 퇴적물과 수층 간에는 끊임없이 물질교환이 이루어 지고 있다. 수 저층 퇴적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저질은 수 저층의 퇴적물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퇴적물의 오염도를 의미하며 이는 수질과는 달리 시 공간적으로 쉽게 변하지 않아 오랜 기간의 수계 환경의 오염 상태를 알 수 있어 최근 수질조사와 더불어 수 환경의 오염도 평가와 수생생물, 저서생물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저질의 항목으로는 영양염과 중금속 함량, 강열감량(IL), 총 황화물(TS), 산화환원치(ORP), COD, 색, 냄새와 악취, 용출량 등이 있다. 이러한 저질 인자들이 하천이나 호소 및 해양의 과거 및 현재의 오염상태를 알 수 있는 오염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나 퇴적물의 채취방법, 조사 지점 수, 분석방법, 결과의 상호 비교 평가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어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저질조사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질 조사의 중요성과 채취방법, 각 저질 항목의 분석방법, 저질변동과 분석 및 평가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하였다.

Particle materials sink in bottom and dissolved inorganic substances release from sediment and many kinds of materials continuously exchange in sediment and water column as well as transfer and transformation in sediment. The study of sediment quality means the state of sediment pollution relation of the water quality, sediment biota, materials fluxes between sediment and water column, transformation of materials in sediment is being important in recent. The state of sediment quality imply that the history of water pollution for long time, because the sediment quality does not change temporally. The sediment quality of bottom water can be used as a good indicator of pollution at present and in future. The major index of sediment qualities are the content of nutrients and hazard materials such as metals, Ignition Loss (IL), Total Sulfur (TS),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sediment COD, color, odor and the release of nutrients from sediment. However, there are some arguments between researchers about compare to estimation of sediment quality and sampling and analysis of sediment. In this study, I will introduce the method of sediment sampling, analyzing and estimating of the sediment pollution.

저자
  • 김도희 | Kim, Do-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