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산만 조간대에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분포 패턴 KCI 등재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s of Marine Benthic Algae at Intertidal Zone in Masan Bay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2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마산만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분포패턴을 2007년도에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2종의 해조류가 서식하였으며, 이 중 녹조류 5종, 갈조류 8종, 그리고 홍조류가 29종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amansii, G.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Gracilaria textorii, 그리고 Polysiphonia morrowii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점종들은 수직분포가 뚜렷하였는데, 조간대 상부에는 U. pertusa, G. divaricatum가, 중부에는 E. intestinalis, E. linza, S. thunbergii, G. divaricatum이 우점하였다. 한편 하부에는 U. pertusa, Undaria pinnatifida, S. thunbergii, G. amansii, G. divaricatum, C. pilulifera이 주로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출현종수는 계절 및 정점에 따라 변하였다. 겨울에 가장 많은 38종이 출현하였으며, 가을에는 28종으로 가장 적었다. 정점별로는 정점 4, 6에서 가장 많았으며, 정점 1, 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해조류 군집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지도 및 MDS 분석 결과에서는 해조류의 종조성 및 현존량이 각 정점의 지형적인 차이 및 조류, 해수의 움직임과 같은 물리해양학적인 특징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s in marine benthic algae at intertidal zone in Masan Bay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throughout 2007. A total of 42 species, 5 Chlorophyta 8 Phaeophyta and 29 Rhodophyta were recorded, and dominant species were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amansii, G.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Gracilaria textorii, and Polysiphonia morrowii during study periods. Especial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dominant algal species was remarkable: U. pertusa and G. divaricatum were dominated in the upper part, E. intestinalis, E. linza, S. thunbergii and G. divaricatum were in the middle part, and U. pertusa, Undaria pinnatiffda, S. thunbergii, G. amansii, G. divaricatum and C. pilulifera mainly occurred in the low part of tidal zone. The numbers of species were different with seasons and stations; Higher number of species was 38 species in winter, whereas 28 species were the lowest in fall.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r at stations 4 and 6 Mile the lower value was at stations 1 and 2 than other stations. The spatial distributional patterns of marine benthic algal composition at each station in dendrogram and MDS ordination were due to the differences of local topograph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urrents and water movements.

저자
  • 곽석남 | Kwak, Seok-Nam
  • 허성회 | Huh, Sung-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