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6배체 트리티케일 2배체 호밀과의 잡종 초기세대에서 교잡 친화성 및 염색체 변이 KCI 등재

Crossability and Chromosome Variation in the Early Generation of the Crosses between the Hexaploid Triticale and Diploid Ry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5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트리티케일 품존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해, 6배체 트리티케일인 신기호밀(TC)과 2배체 호밀 2개 품종 등을 교잡한 잡종 초기세대의 교잡친화성 및 세포유전학적 양상을 검토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기호밀 (TC)과 2배체 호밀의 교잡에서 교잡율은 조합에 따라 39.3~41.6%로, 평균 40.5%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의 역교배에서는(2배체 호밀 신기호밀) 교잡율이 극히 낮았다. 트리티케일/2배체 호밀의 F1 에 호밀을 화분친으로 교잡(F1 /P2 )했을 때는 평균 5.47%, TC를 화분친으로(F1 /P1 ) 했을때는 평균 2.69%의 교잡율을 보였고, F2 는 0.38% 였다. 모든 단교배 F1 종자의 발아율은 80% 이상이었으며 F1 /P2 세대는 평균 65.9%, F1 /P1 은 59.5%, F2 는 40.8%로 세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트리티케일과 호밀의 F1 화분 임성은 평균18.7%로 나타났다. 트리티케일과 호밀의 F1 에서 1가 염색체 12.6, 2가 염색체 6.94, 3가 염색체 0.53개였다. 트리티케일/호밀(TC/R)에서는 F1 의 염색체수는 28개였고 F2 는 21~34, F1 /P1 은 33~38개의 분포를 보였고 F1 /P2 은 20~21개 염색체를 갖는 개체의 빈도가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crossability, variation of chromosome number in pollen mother cell (PMC) and somatic cell of the progeny from the cross between hexaploid triticale cv. Sinkihomil and two diploid rye varieties. Seed set was 39.3 to 41.6% (averaged 40.5%) in the cross between triticale (P1 ) and rye(P2 ), which resulted in 0.33% in F2 (selfed F1 ), 2.69% in F1 /P1 5.47% in F1 /P2 respectively. However, seed set was extremely low in both reciprocal crosses when triticale was used as male. Germination rate of the crossed seed was 94.0% in F1 40.8% in F2 (selfed F1 ), 59.5% in F1 /P1 and 65.9% in F1 /P2 from the cross between triticale and rye, respectively. Pollen fertility of F1 plant was averaged 18.7% in the cross between triticale and rye. Number of Uni-, Bi-, and Trivalent in PMC was 12. 6, 6.94, and 0.53, respectively, in the F1 between the triticale and rye. There were 28 chromosomes in F1 , 21 to 34 in F2 , 34 to 38 in F1 /P1 and 19 to 23 in F1 /P2 from the cross between the triticale and rye, respectively.

저자
  • 황종진(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
  • 이홍석(서울대 농대 농학과)
  • 하용웅(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