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식된 철근의 표면 거칠기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Surface Roughness of Corroded Reinforcing Reba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1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철근부식에 의해 발생된 녹은 철근 주위의 콘크리트에 팽창압력을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균열유발, 피복콘크리트의 박리나 탈락, 철근의 단면적 감소들을 야기 시킨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입된 철근의 부식은 철근과 콘크리트의 일체 거동을 저하시킴으로써 구조물이 외력에 견딜 수 있는 구조성능의 감소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철근이 부식됨에 따른 철근의 표면적을 측정하여 부식률과 표면 거칠기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철근부식률 1~2%의 경우에서는 철근 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 범위내에서 철근의 부착강도가 증가한 기존의 실험결과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철근부식률 2% 이상에서는 오히려 표면적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단면적 손실로 인한 기존 부착강도 실험과 부합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surface roughness of corroded reinforcement rebar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focusing o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technique for rebar corrosion. Reinforcement rebar was corroded using accelerated corrosion induced method and corrosion rates were 0%, 1%, 2%, 3%, 5%, and 10% of mass losses. Using 3-dimensional scanner each surface profile of reinforcement rebar was established, and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Through tests and analyses of corroded reinforcement rebar, the following topics were particularly discussed: measurement of surface roughness, relationship between area and surface roughness,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roughness and bond performance. As a result, surface roughness of corroded rebar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to bond strength until 2% of corrosion rate. It was also discussed how to relate surface roughness of corroded rebar to bond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저자
  • 노영숙(서울산업대학교 건축공학과) | Roh, Young Sook Corresponding author
  • 이선규( 서울산업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선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