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양한 전단보강근비를 가진 RC보의 화재노출시간에 따른 강도변화 KCI 등재

Strength of RC Beam with Various Shear Reinforcement Ratios After Experiencing Different Duration of Fire Loa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2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단보강근 비율이 다양한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하여 가열시간을 각각 달리한 후 그 구조성능변화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준에서 적용하고 있는 부재의 내력산정방법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화재손상된 철근콘크리트 강도예측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9개의 철근콘크리트 보를 제작하여 표준가열곡선에 따라 가열로에서 가열시험을 실시하고, 이들 손상된 보에 대한 파괴실험을 통하여 구조성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부재와 동일한 피복을 가진 철근에 대하여 가열후 철근강도변화를 관찰하여 가열에 따른 철근의 물성변화를 파악하였다. ACI기준과 Eurocode 기준을 분석하고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화재손상된 RC부재의 구조성능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1시간과 2시간 가열된 실험체가 무가열실험체들에 비하여 매우 취성적인 파괴양상을 보였고, 이러한 양상은 전단보강근비가 작아질수록 그리고 가열시간이 증가할 수록 심하게 나타났으며, 화재에 의한 재료손상의 정확한 예측이 가능할 경우, 부재의 구조성능변화는 충분히 평가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result to study the change of structural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various shear reinforcement ratios after damage by fire load. In addition, fundamental data are given in order to predict the strength variation of RC member due to fire damage by evaluating the previous calculation method codified in codes. Nine RC beam specimens were made and exposed to the fire controled by the standard fire curve. And the structural capacity was evaluated through a failure test under simple support condition. Previous code formula, ACI code and Eurocode were reviewed and u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strength of specimens damaged by fire. From the test, RC beam specimens exhibited very brittle failure when it exposed to fire controled by standard fire curve during more than one hour. And this failure pattern tended to be more serious when shear reinforcement ratio decreased or fire loading duration increased. From the evaluation of the calculation process in code, the change of strength due to fire can be properly predicted if the damage of materials is well defined.

저자
  • 서수연(충주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 Seo, Soo Yeon Corresponding author
  • 정채명(토담구조 대표이사. 공학박사) | Jeoung, Chae Myeoung
  • 최기봉(경원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 Choi, Ki 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