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現代 漢字文化圈의 文字 使用과 漢字의 範疇에 關한 一考 KCI 등재

A consideration for Use and category of Chinese Character in the modern Chinese Character-culture round

현대 한자문화권의 문자 사용과 한자의 범주에 관한 일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3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본 논문은 東아시아의 漢字文化圈의 再編成에 따른 ‘漢字의 範疇’에 대한 연구 이다. 中世 東아시아의 여러 나라는 漢字를 普遍的 文字로 使用해왔다. 內部的으로 國家의 管理와 經營에 必要한 大部分의 文書 管理를 漢字를 使用한 漢文으로 表現하고 使用하였다. 이에 따라 漢文은 多樣한 文體로 使用되었다. 19世紀末 東아시아의 漢字를 媒介로 한 文語 體制에 分裂이 생겼다. 中國은 淸末부터 文字 改革을 通하여 文言文을 解體하고 簡化字의 使用을 통해서 傳統 의 漢字인 繁體字에 變化를 주었고, 白話文의 定着을 通해서 言文一致를 實現 하였다. 日本은 메이지 時代 때부터 國字 文字와 言文一致의 問題를 提出한다. 특히 ‘國家’ 意識 成立과 함께 國語의 槪念을 成立시키고, 오늘날의 仮名(가나) 政策을 確定한다. 韓國은 1894년 이후 漢文의 文體를 버리고, 國漢文體를 거쳐 서 國文體를 成立하고 끊임없는 한글 政策을 통해서 한글 專用을 政策的으로 成功시킨다. 近代 東아시아 言語의 語彙 政策은 西歐의 學問을 漢字語彙로 飜譯해 냄으로 써 새로운 東아시아의 漢字語彙의 普遍性이 成立되었다. 現代 東아시아 漢字의 使用은 中世 때와 달리 多樣한 現象을 보인다. 各國의 文字 政策으로 因해서 새 로운 漢字들이 登場하였다. 中國은 一部의 漢字를 簡體字로 바꾸었다. 日本은 一部의 漢字를 略字로 바꾸었다. 韓國은 한글 專用 政策을 쓰고 있지만, 基本的 으로 繁體字를 使用하고 있다. 20世紀 後半 東아시아가 政治的으로 分裂되어 있을 때에는 각 국가는 自身들 의 文字 政策만 觀心을 가지면 되었다. 그러나 지금 21世紀 東아시아 交流가 매 우 頻繁하고 緊密한 때를 맞아서 漢字는 다시 個別 國家의 文字로 볼 것이 아니 다. 東아시아의 觀點에서 바라보면 漢字의 範圍는 상당히 달라진다. 漢字를 對象으로 ‘繁體字, 簡化字(簡體字), 略字’ 等이 存在한다면 그 範圍가 減少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늘어난 것이 된다. 즉, 東아시아인들이 相互間 文書 를 視覺的으로 接할 때에는 본디 漢字에 簡化字, 略字까지 包含을 하면 그 수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個別 國家의 경우에는 關係가 없지만, 簡體字나 略字는 繁體字의 또다 른 異體字가 될 수 밖에 없으며, 簡體字나 略字를 사용하는 사람의 처지에서 보 면 그에 해당하는 繁體字가 또다른 異體字가 될 수 밖에 없다. 즉, 東아시아적 觀點에서 보면 近代에 簡體字나 略字의 制定은 곧 異體字의 增加인 것이다. 결국 現代 東아시아의 漢字는 各國의 漢字에 다른 나라에서 使用하는 繁體字 와 簡化字, 略字 등이 異體字로 存在한다는 것이다. 즉, ‘東아시아 國家의 漢字 = 自國의 漢字 + 異體字’라는 公式이 成立되는 것이다. 繁體字와 簡體字, 略字의 相互 關係를 살펴보면 一部의 漢字를 除外하고는 大部分은 字形이 類似하거나 一部 劃數의 多少 차이를 보여줄 뿐이다. 따라서 東아시아 交流的인 側面에서 繁體字, 簡化字 略字 모두 겹치는 일부 漢字에 대 해서는 相互 比較 學習할 수 있는 環境 造成이 필요하다.

这次发表的内容在东亚汉字文化圈再编成的基础上定义为‘汉字的范畴’。在中国从清末时期,由于文字改革的活动,使文言文解体,开始使用简体字。传统的汉字,即繁体字减少使用。反而通过白话文的定着,实现了言文一致的现象。在日本从明治时代开始,就提出了国字文字和言文一致的问题。特别是成立了‘国家仪式’和国语的概念后,一直到今天的仮名政策的确定。在韩国从1894年以后,放弃使用汉文的文体,经歷了国汉文体的时期,成立了国文体,无止境的灌输韩文政策,最终成功的实现了使用韩文的体制。但近代东亚言语的语汇政策是把西洋的学问用汉字的语汇进行解释,创作出新的东亚汉字语汇。现代东亚使用的汉字与中世使用的汉字有了不同的、多样的变化。由于近代各国有了文字使用政策,随之也增加了新的汉字体。中国的汉字体属于简体字,日本的汉字体则是略字,而韩国虽然是韩文专用政策,但基本上使用的是繁体字。由于20世纪后半,东亚各国的政治开始分裂,各个国家只关心各自的文字政策。但到了21世纪,东亚各国间交流十分频繁、紧密,汉字再也不能被认为是个别国家的文字了。站在东亚的角度去审视,汉字的使用范围相当的重要。不过,以一个汉字为单位,如果它的繁体字、简体字和略字都存在的话,不是减少而是增加了。可以简单理解为,东亚人之间使用的文书或者是汉字表记的言语,包括了简化字和略字,从此可知,汉字的字数有了增长。现代东亚圈使用的汉字,除自己国家使用的汉字以外,例如繁体字、简体字或者略字等,异体字也站了一席之地。从此归纳出这样的公式 东亚圈的汉字 = 自国的汉字 + 异体字。从山面的公式中可以看出,未来将会出现更多的汉字体。观察繁体字、简体字和略字以上叁类,除去少数的汉字,大部分汉字的字形十分类似,或者仅仅笔划数上有些差异而已。并且,东亚各国在交流上,繁体字、简体字和略字叁类字有重合的现象,对于汉字进行相互比较和学习研究。

This study is to define 'category of Chinese Character' following re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culture round in East Asia. Many countries in medieval East Asia had been used Chinese Character as a common letter. They used Chinese phras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o manage most documents that were needed for the internal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country. Therefore, there were various styles of Chinese phrases that are similar to modern style. Since the end of Chin age, China has dissolved written language(文言文) through the Chinese Character reformation, has made a change for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Fantizi(繁体字) by using Jianhuazi(簡化字) and has come true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by the settlement of Baihuawen(白話文). Japan suggested the subject about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in the age of Meiji. Especially Japan ruled the conception of first language establish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finally, confirms the policy of today's Gana. Korea threw away the Chinese Character style in 1894. And passing through Gukhanmunchae(國韓文體), a mix style of Chinese Character and Hangul, it approved Kukmunchae (國文體) and succeeds politically the only use of Hangul through the constant Hangul policy. However, though the written language community was dissolved, the modern East Asian written language policy has confirmed the universality of Chinese Character words in the new East Asia by translating western studies into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Use of Chinese Character in contemporary East Asia shows diverse phenomenons unlike the middle ages. China uses Jianhuazi(簡化字) partially in the use of Chinese Character. Japan Simplified some of Chinese Characters. Korea uses Hangul policy, but basically, it uses Fantizi(繁体字). When East Asian countries were split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ey can concentrate on the policy of their own letter. However, facing with the times that has many exchanges among East Asian countries in the 21century, the range of Chinese Character quite differs in the term of not a letter of each country but the one of a whole East Asia. Nevertheless, if the several types such as Fantizi(繁体字),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exist on the same Chinese Character, it is not a reduction but an expansion of the range. That is, when East Asian contact optically mutual documents or some languag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are increased by including basic Chinese Character,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Therefore, though it has no relation in the terms of each country,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s(略字) cannot but be another variation and from viewpoint of people using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Fantizi is the another variation of the two. For this, it is the fact that modern regulation of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connected to the increase of the variations in the terms of whole East Asia. As a result, Chinese Character in the contemporary East Asia exits as a variant form of a Chinese Character such as Fantizi(繁体字),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Hence, 'East Asian countries' Chinese Character = Own Character + Variations' can be a formula. Considering correlation among Fantizi,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it only indicates similarities of form or differences in some strokes. Therefore, for the aspect of East Asian exchange, it needs to have some regards for studying in the way of comparing parts of Chinese Characters overlapped in all characters.

목차
1. 緖論
2. 東아시아의 近代, 文語의 解體
3. 漢字語彙 共同性에 따른 東아시아 漢字의 使用과 範圍
4. 結論
저자
  • 宋秉烈(嶺南大學校 副敎授) | 송병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