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자문화’의 지식형성과 지식실천 : 전통의 이해와 계승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 KCI 등재

A Study on Formation of Knowledge on Chinese Writing Culture : For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Understanding and Succession of Trad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4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한자문화권의 한자문화란 한문을 공용문어로 사용하여 영위된 종합적 지식체제 이다. 즉 한문을 지적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사람들의 生活知, 學問知, 普遍知, 構想知등이 모여 이루어진 知識地形圖이다. 한자문화의 ‘知的傳統’은 가치의 역사적 축적이다. 특히 한국의 지적전통은 한 국의 지반에서 현실적으로 갖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한자기록으로 이루어진 지 적전통은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그것을 교육하고 학습하는 분야가 한문과목 이다. 우리의 한문문화를 동아시아 한문문화 속에서 비교하여 그 同異와 變化, 나아 가 普遍化를 분석할 때 우리만의 특성을 찾아낼 수 있다. 본고는 한자문화 중 전 통교육과 관련된 지식형성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이 때 지식형성에 어떤 교재가 어떤 교육방법으로 사용되었는가를 밝히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전통’ 한문 교육에서 그 지식의 분류와 지식의 실천내용을 고찰하여 지식형성의 틀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전통적 몽학 한문교재는 天地人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지식을 형성하고 있다. 우선 자연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토대로 하고, 그 위에 이상적 인간의 모습으로서 사회의 질서체제와 예교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고대사회의 식자교재 인 『급취장』을 비롯하여, 가장 널리 사용된『천자문』등의 중국교재는 물론이고, 조선시대의 『유합』이나『訓蒙字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분류체계 안에 서 초학자들은 識字와 함께 자연스럽게 전통적 세계관과 인간관에 접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한편 교화용 교재는 자연에 관한 이해에 앞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다양하게 제 시하고 있다. 중국 宋代에 만들어진 『소학』,『삼자경』의 분류체계가 율곡의 『성학집요』나『격몽요결』등의 계몽서에 수용되어 계승되었다. 이러한 교화용 교재의 분류체계는 학습자로 하여금 심신의 수양과 독서를 통한 자기계발의 학습방법과 사회 속에서의 처신을 체득하게 한다. 이러한 전통적 몽학교재에 보이는 분류체계를 현대 한문교육 교재에 활용하게 되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전통의 이해와 계승의 한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ino-Korean culture in Chinese character culture zone is a general knowledge system using classical Chinese as a common written language. That is, it is a knowledge map describing living, studies and conceptions of the people who used chinese characters as an intellectual means.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historical accumulation of values. In particular, it is the real meaning Korean intellectual tradition has on the Korean base. The intellectual tradition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as been developed in varied ways, and we are taught and learn through the subject of Chinese writing. When we compare our culture of Chinese writing with Chinese writing cultures of East Asia , we can find our own characteristics. This study looked at formation of knowledge on traditional education at Chinese character culture. Here,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se what textbooks and educational methods have been used.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analysed to discover the frame of the knowledge formation. The traditional textbooks of Monghak Chinese writing form knowledge based on Tenchijin classification system. First, based o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they present social order system and Confucian manners as ideal attitudes of humans. Such classification system accepts Yuhap or Hunmongjahoi including Chinese character books such as the Thousand-Character Text including Geupchijang, a typesetting textbook of Joseon Period. Through the classification system, learners could access to the traditional views of the world and people along with Chinese characters. However, textbooks for edification presented understanding on people in varied aspects rather than understanding on the natur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Sohak and Samjagyong written in Song Dynasty has been inherited to edification books as in Yulgok's Sunghakjipyo or  Gyeokmongyogyol. Such system led learners to learn how to study and behave themselves through self-training and reading. If the classification system is used for modern Chinese writing textbook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way to understand and succeed tradition required by the curriculum.

목차
1. 한자문화권의 한자문화 교육의 범주
2. ‘전통’ 한문교육 교재에서 보이는 지식형성의 틀
2-1 지식 분류와 어휘교육
2-2 지식 실천의 내용교육
3. 한자문화 교육교재의 개발
저자
  • 韓睿嫄(조선대학교 한문학과) | 한예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