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작과 리메이크 영화에 나타난 문화유형 비교 연구 : 한국영화 <시월애>와 미국영화 <레이크 하우스>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ultural Patterns in Original Film and Remake Film : Focused on Korean film, and American fil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2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Broadcasting & Arts Research Institute)
초록

영화가 문화를 반영하고 재현하는 기능을 지닌 훌륭한 문화 텍스트라는 점 은 다양한 논의를 통해 이미 확인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이 한 문화를 지닌 두 개 이상의 지역에서 생산된 영화 텍스트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영화를 통해 문화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했다. 문화의 차이를 비교하는 준거로는 ‘고 맥락’과 ‘저 맥락’으로 유형화 되는 에드워 드 홀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맥락 의존도 차이에 주목하였으며, 비교 대상이 되는 텍스트로는 한국에서 2000년에 제작된 영화 <시월애>(감독 이현승)와 이 영화를 원작으로 하여 미국에서 2006년에 리메이크 된 영화 <레이크 하우스>(감 독 알레한드로 아그레스티)를 선택하였다. 영화의 리메이크란 기존에 있던 영화를 시대적, 문화적 배경에 맞추어 재생산 하는 행위를 말하는데 특히 외국에서 리메 이크 되는 경우, 원작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영화가 만들어지는 지역이나 국가의 문화적 특성에 맞추기 위해 통합체적 구조는 그대로 유지한 채 계열체적 구조만을 변형시키는 경우가 많아, 원작과 리메이크 영화의 짝패는 그들이 반영하고 있는 문화 요소의 체계적인 비교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비교의 틀이 되 는 통합체와 계열체 분석에는 기호학적 분석 방법을 도입하였다. 연구 결과, 영화의 통합체 분석에서는 두 텍스트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 지만, 계열체 분석에서는 상대적으로 고 맥락 문화를 가진 한국 영화에서 맥락도 가 높고, 저 맥락 문화를 가진 미국 영화에서 맥락도가 낮은 요소들이 다양하게 발견되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It is no more controversial issue that the film is a good cultural text reflecting and reproducing specific cultu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ggestion that comparing two films from two cultural background means comparing two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this study's purpose is testing the suggestion of comparative study on film as a method of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For the frameworks of the study, Edward T. Hall's concept of 'the context scale of culture' is hired. According to this concept, some culture like Korea have communication patterns in high context, and some culture like America have those in low context. The texts of study with comparative approach are two version of films. One is the Korean film made in 2000, <IL MARE>(directed by Hyun-Seung Lee), and the other is American remake film made in 2006, <The LAKE HOUSE>(directed by Alejandro Agresti). The term 'remake' is generally used in reference to a film which uses an earlier film as the main source material, rather than in reference to a second, later movie based on the same source.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comparative work between two films, some semiotic analysis methods is selected, and among them, the researcher applied the syntagmatic analysis, the paradigmatic analysis to the texts. As the result of syntagmatical analysis, the remake film has a similar narrative structure with the original film. The reason of the result is assumed as a strategy for maintaining the original film's common sense of culture. And, through the paradigmatic analysis, many different points are revealed between two films. High context communication patterns are found in Korean original film from high context culture, and Low context communication patterns are found in American remake film from low context culture. That means cultural factors can make differences in films.

저자
  • 유세문(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연구교수) | Yoo, Sem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