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922~1975 사이에 간행된 漢文文法書의 品詞理論硏究 KCI 등재

Study on the theories of the parts of speech in the books of Chinese grammar from 1922 to 1975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2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0,1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우리나라에서 서구의 문법이론을 기초로 한 한문문법의 연구는 1908년에 시작된 이래 1921까지 4권의 한문문법서가 간행되었다. 그러나 이후 40년간 한문문법서의 간행이 없다가 1960부터 다시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본고는 1960년부터 1975년까지 간행된 4권의 문법서에 수록된 形態論의 이론 중 品詞에 대한 연구이다. 초기간행문법서(1908-1921)에는 11가지로 品詞가 분류 되었는데 實辭(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와 接續詞와 感歎詞등의 品詞는 名稱은 동일하였고, 槪念定義도 언어적 표현을 달랐지만 공통성이 있었다. 그러나 하위분류에는 造語的방법이 수용되어 과도기적 현상이 나타나 있고, 동일한 하위분류도 저자에 따라 각기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혼동을 초래하였다. 심지어 文의 性質上분류인 假定文, 反語文, 漸層文등을 轉詞란 품사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특히 虛辭 (助詞, 助動詞. 介詞)는 독립된 품사로 인정하지 않은 것이 특성이었다. 그 후 40년간의 공백기를 두고 60년대에 들어와 발간된 문법서들이 초기에 간행된 한문문법서에 이론을 어떻게 수용하고 발전시켰는가를 究明하는 것은 漢文 文法書硏究史에 필수적이라 본다. 이러한 검토가 있은 후에야 품사분류와 하위분류에 합리적인 기준이 제시되리라 생각된다. 본고는 ꡔ漢文解釋(1960)ꡕ, ꡔ漢文大綱(1971)ꡕ, ꡔ漢文敎疑書(1973)ꡕ, ꡔ漢文通釋(1975)ꡕ을 대상으로 품사를 검토하였다, 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 接續詞, 感歎詞등은 品詞의 名稱이 동일하고, 槪念定義는 표현적인 차이가 다소있으나 내용은 일치하였다, 품사의 下位分類도 초기문법서와는 달리 용어나 하위 분류에서 상당히 합리적으로 대부분의 분류와 명칭이 후대문법서에 수용되고 있다. 그러나 助詞, 終尾詞, 終結助詞, 助動詞, 補助詞, 前置詞, 後置詞, 介詞, 前後置詞등은 품사의 명칭도 다르고, 개념 정의도 차이가 있으며, 하위분류는 상당한 부분이 견해를 달리하고 있어 여전히 과도기적 현상을 보이고 있다.

In the year of 1908, the first Chinese grammar book was published adopting the modern western grammar theories, and 4 more books was introduced by the year of 1921. 40years had been passed before the next grammar book was released in 1960.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and analyzed the theories of the parts of speech in the 4 Chinese grammar books, HanMunHeaSeok(漢文解釋), HanMunTaeGang(漢文大綱), HanMunGyoUiSeo (漢文敎疑書), HanMunTongSeok(漢文通釋).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No difference can be found in the terms of parts of speech in the books as : (1) Noun, (2)Pronoun, (3)Verb, (4)Adjective, (5)Adverb, (6)Conjunction, (7)Interjection, and small difference in the notional definition but still have same meaning of them. The subordinat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can be regarded as in the same classification and terms regardless of small difference among them. The contents of classification is more resonable than that of the grammar books in earlier age. 2. Some difference can be found in terms of parts of speech in the books as : (8)'Josa'(auxiliary word) 'Jongmaisa'(closing word) 'Jonggyeljosa (closing auxiliary) (9)Jodongsa(auxiliary verb) Bojosa(support auxiliary verb) (10) Jeonchisa(preposition)Huchisa(postposition)Ges (preposition) Jeonhuchisa(pre/postposition), and definition of conception differs. These difference can be often found in the subordinate classification, the phenomenon of transition period prevailed in grammar just like the early published ones.

목차
Ⅰ. 序言
Ⅱ. 文法書의 書誌
1.『漢文解釋』  2.『漢文大綱』
3.『漢文敎疑書』 4.『漢文通釋』
Ⅲ. 品詞
1. 名詞 2. 代名詞 3. 動詞 4. 形容詞 5. 副詞
6. 接續詞 7. 感歎詞 8. 助詞․終尾詞․終結助詞 9. 助動詞․補助詞(助動詞等)
10. 前置詞․後置詞․介詞․前後置詞
Ⅳ. 結語
저자
  • 김용한(대구한의대학교) | Kim, Yong-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