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명승 제35호 성락원에 대한 신귀화식물의 분포특성 KCI 등재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eophyten in Seongnagwon of Scenic Site No. 35.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74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서울 도심지에 위치하며, 주기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지는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35호 성락원을 대상으로 식물상 연구가 수행되었다. 총 69과 141속 163종 20변종 1품종 분류군이 기록되었으며, 27분류군의 신귀화식물이 나타났다. 출현한 신귀화식물을 대상으로 생활형, 산포형, 원산지, 유입방법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첫째, 생활형 분석에서 항구, 쓰레기매립장, 도로 변 등 불안정하고 교란이 많은 서식처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1~2년생 초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이 특기되었으며, 이것은 주기적인 예초, 풀 베기 등과 같은 인위적 영향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산포형 분석에서 중력 산포 및 풍수 산포가 전체의 8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특히 중력 산포형은 다른 산포형에 비하여 자연적으로 종자가 이동하고 확산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불리하기 때문에, 원예식물 식재 및 외부 토사 반입 등 인간의 활동(의도적・비의도적)에 의해 분포・확산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원산지 분석의 경우 총 6개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북아메리카 원산 45%과 유럽 원산 33%이 전체의 7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이들 지역이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동아시아구계의 지리적 위치와 기후적으로 유사하여 다른 기후대의 식물구계에서 유입된 식물종 보다 침입과 적응이 유리했기 때문이다. 넷째, 유입방법은 인간의 활동(의도적・비의도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탈출외래종과 수반외래종이 전체의 92%를 차지하였다. 특히 이미 도입된 현지에서 탈출하였다는 것은 지역의 자연환경조건에 적응하여 상대적으로 분포확산이 용이한 생태적 특성을 내포하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 대책 수립이 요구되었다. 한편, 신속한 확산이 예상되어 국가적으로 주의가 요구되는 신귀화식물종 가운데 서양등골나물,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등이 성락원 내 분포하고 있었으며, 국가지정문화재인 성락원이 주변 생태계로 귀화식물의 확산을 야기할 수 있는 교란핵 구역이 될 수 있으므로 단순한 제거작업이 아닌 자연식생의 복원차원에서 귀화식물에 대한 관리방안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성락원과 같은 국가지정문화재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carried flora investigation out the Seongnagwon of scenic Site No. 35. in downtown Seoul that were managed a periodic landscaping. As results, taxa of total 69 families, 141 genera, 163 species, 20 varieties, 1 forma were recorded and 27 taxa of Neophyten were appeared. And Neophyten were analyzed the life-form, disseminul-form, origin and introduction mode.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life-form’s analysis, high frequency of therophyte appearance in high rate due to human activity such as grass mowing. This results in the disturbance of numerous habitats as port, landfill and roadside. Second, in case of disseminul-form’s analysis, D4 and D1 were accounted for 85% of the total. Especially, D4 compared to others naturally move and spread the seeds that are relatively unfavorable. Therefore these results were spread by human activity(intentional or unintentional) such as planting a garden plant, imported a external soil ect. were considered. Third, in case of origin’s analysis, origin of the 6 region were identified. And nA(45%) and Eu(33%) were accounted for 78% of the total. These places are similar with geographical position and climatic of East Asiatic Province include South Korea and it is more benefit than plant species from flora of other climate region for adaptation and invasion. Fourth, introduction modes are human being’s activity (intentional, unintentional) and directly related with ergasiophygophyten and kenophyten and those are 92% of introduction modes. Especially, escape from the local area which is already introduction shows they are adapted to local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and it include ecological characteristic which is easy to distributional spread and then it demand to appropriate management policies.

저자
  • 이원호(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Won Ho Le
  • 오해성(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Hae S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