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金安國의 ‘勸小學詩’에 나타난 敎育觀 硏究 KCI 등재

A study of the education view from by Kim An Kuk

김안국의 ‘권소학시’에 나타난 교육관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1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본 논문은 金安國의 문집에 실려 있는 ‘勸小學詩’를 통해서 그의 교육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권소학시’ 著作의 背景 및 ‘권소학시’가 지니는 시대적 의의를 파악하였다.『小學』은 유교적 도덕성을 통하여 조선사회를 교화시키는데 활용한 중요한 修身書이다. 조선조 전기에 김안국은 유학교육의 입문서격인『소학』에 담긴 내용을 실천하기를 권하는 ‘권소학시’를 지어서 鄕校 학생들에게 유교사회의 도덕규범을 장려하고 鄕村 사람들을 敎化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김안국의 ‘권소학시’의 창작 배경은 燕山朝의 弊政을 극복하고 강력한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中宗의 적극적인『소학』교육 장려책에서 비롯된 것이다. 1517년 金安國은 慶尙道 觀察使로 파견되자 각 鄕校의 유생들에게 적극적으로『소학』을 권하였는데, 경상도 관내의 방문하는 각 향교마다 현판에 ‘권소학시’ 한 편씩을 써 붙여서 강당에 걸게 하여 학도들을 勉勵하고 『소학』을 공부하고 몸소 실천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의 이러한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이때부터『소학』교육 운동이 활발하게 실현되기에 이르렀다. 또한『農書諺解』·『蠶書諺解』·『二倫行實圖諺解』·『呂氏鄕約諺解』·『正俗諺解』 등의 언해서와『辟溫方』·『瘡疹方』 등의 의학 서적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였으며, 鄕約을 시행하도록 하는 등 열정적으로 교화사업에 전념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된 ‘권소학시’에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특징을 지닌 교육관이 드러났다. 첫째는 道德性을 강조한 교육관이다. 조선은 성리학을 건국이념이자 통치철학으로 삼아 백성들을 다스리고 교화하여 강력한 왕조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건국이후에 훈구를 비롯한 기득권층이 鮮初의 강력한 의지를 상실하고 현실에 안주하여 안일한 태도로 일관하여 부패와 도덕적 타락이 만연하게되자 김안국은 도학정치로 도덕성을 회복시키고 유교적 도덕 윤리를 강조하여 위정자와 백성을 교육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둘째는 實踐性을 강조한 교육관이다. 훈구파는 詞章만을 숭상하여 一身의 榮達과 利祿을 취하는 방편으로 삼았으며 문학적인 誇示를 일삼았다. 이에 중종을 비롯한 뜻있는 신진사림파는 정국의 안녕과 국가의 질서를 회복해야함을 통감하기에 이르렀고 유학의 진작을 도모하였다. 이에 김안국은 이러한 당시의 세태를 비판하고 性理學에 입각한 道德性의 회복과 日常 彛倫을 실천해야 함을 강조 하였다. 셋째는 日常에서 風俗의 敎化를 강조한 교육관이다. 上下官吏의 貪慾을 抑制하고 純風․美俗을 宣揚하는 方法으로 김안국은 ‘권소학시’를 통하여 성리학의 기본 윤리가 일상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배어지게 하여 성리학적 풍속의 습관화를 통하여 도덕적인 유교적 인간형이 형성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에 16세기 조선사회가 훈구세력의 부정부패와 권력남용으로 윤리기강이 무너진 조선 사회를 개혁하고 문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교육적인 내용이 담긴 ‘권소학시’를 창작하였음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서 김안국의 교육관의 제 특징을 파악하였다.

本论文通过论述金安国的文集中所收藏的『劝小学诗』, 从而观察他的教育观的特征, 进而掌握『劝小学诗』著作的背景及其所代表的时代意义.『小学』通过儒敎的道德性而对李氏朝鲜社会进行教化, 是十分重要的修身书籍. 朝鲜前期, 金安国为了规劝大家能够去实践儒学教育入门书籍『小学』中所讲述的内容, 因而编著了『劝小学诗』, 此书成为鼓励乡校学生, 教化乡村百姓的主力书籍. 这样的化民成俗成为克服燕山朝的弊政, 强化王权的一种政策, 也是中宗积极的推进『小学』教育的鼓励政策. 1517年金安国被派遣担任庆尚道观察使, 他便极力地向各个乡校的儒生们推荐『小学』, 他所访问的庆尚道管内的各个乡校的悬板上都写上了『劝小学诗』, 他强调要学习『小学』并要自己亲自去实践. 通过他这样积极地努力,『小学』 教育活动得以活跃的进行. 此外,『农书谚解』,『蚕书谚解』,『二伦行实图谚解』,『呂氏乡约谚解』,『正俗谚解』等谚解书和『辟温方』,『疮疹方』等医学书籍的发行也得到了广泛的普及, 并且乡约的实行等活动也被积极地投入到了教化事业中. 在这样的背景之下,『劝小学诗』呈现出以下三个特征. 第一是强调道德性的教育观. 李氏朝鲜以性理学为建国理念和统治哲学, 以它来管理及教化百姓, 从而想建立成强 大的王朝. 但是建国以后, 以勋旧为首的权力层们丧失了李氏朝鲜初期的那种强烈的意志, 他们安于现状, 一贯持有安逸的态度, 从而腐败和道德堕落开始蔓延. 金安国强调要用道学政治来恢复道德性, 强调儒教的道德伦理, 用它来教育为政者和百姓. 第二是强调实践性的教育观. 勋旧派们崇尚词章, 追求荣华利禄, 将炫耀文学为嗜好. 对此, 以中宗为首的新进士林派深深的感觉到需要维护政权的安宁, 恢复国家的秩序, 从而 想谋求振兴文学之路. 金安国批判了当时的世态, 强调要恢复立足于性理学的道德性, 并且要在日常生活中实践论理道德. 第三是强调日常中的风俗教化的教育观. 抑制上下官吏的贪欲, 宣扬纯风․美俗, 金安国通过『劝小学诗』, 将性理学的基本伦理自然的渗入到日常生活中, 他强调, 通过将性理学的风俗习惯化, 从而形成充满道德的儒教的世界. 16世纪李氏朝鲜社会的勋旧势力贪污腐败, 滥用职权, 从而导致伦理纲纪瘫痪, 为了改革这样的李氏朝鲜社会, 振作文风, 含有教育内容的『劝小学诗』 从而应运而生, 并且本论文通过这本书而掌握了金安国的教育观的特征.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view through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which i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Kim An Kuk and illuminates its the meaning of the times. Sohak is an important book on self-culture that is used to enlighten Chosun society through confucian morality. In the early age of Chosun Dynasty, Kim An Kuk wrote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 to advise to practice the theory of Sohak, which was like an introduction of confucian education, encouraged Hyanggyo students to follow the moral standard of confucian society, and made efforts to educate country people. This enlightenment and being custom(化民成俗) are originated from the active incentive of Sohak education by Jungjong. Kim An Kuk was appointed to the governor of Kyungsang-do and emphasized Sohak intensively. For this, there were vigorous Sohak education campaigns. In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 which was written in this situation, there were three remarkable perspectives of education. One of them is the perspective that accentuate morality. At that time, as the graft and moral corruption of the Hungu pervaded, Kim An Kuk emphasized to recover morality with ethical policy, highlight confucian moral ethics and educate people. Secondly, it is the educational view of underlining practicability. The Hungu highlighted poem and lines and made a display of literature. He criticized it and stressed having moral manner and
practicing moral ethics. At last, it is the educational view that emphasizes enlightenment of custom in daily life.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 by Kim An Kuk accentuates that it is possible that confucian customs are penetrated to daily life naturally and moral confucian human type is formed in the living. Following this, it enunciated that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 was created to reform the Chosun society in 16th centuries that ethical discipline was collapsed by the corruption and power abuse of the Hungu and through this, it also stated the characteristics of Kim An Kuk’s educational view.

목차
Ⅰ. 序言
Ⅱ. ‘勸小學{詩’ 著作의 背景
1. 모재 사상의 연원
2. ‘권소학시’저작의 시대적 배경
Ⅲ. ‘勸小學詩’에 나타난 김안국의 교육관
1. 道德性을 강조한 교육관
2. 實踐性을 강조한 교육관
3. 日常에서 風俗의 敎化를 강조한 교육관
Ⅳ. 結語
저자
  • 趙英麟(한국대구한의대학교) | Cho Young R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