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량 경간장에 따른 도시교량경관 선호도 분석 −대전시의 거더교를 중심으로− KCI 등재

Preference of Urban Bridgescape According to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Focused on the Girder Bridges in Daeje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5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도시하천교량은 하천변 이용의 증가에 따른 노출빈도가 높아지고 도시경관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전시 3대하천의 거더교량을 대상으로 교량경간장이 도시교량 경관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도시 및 도시하천의 주 경관 형성요소로서 교량경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방법으로 기존의 연구논문과 이론에 관한 서적들을 통해 교량의 개념과 분류를 고찰하고 교량경관이 가지는 미학이론과 교량의 미적구성요소들을 살펴본 후 교량경관 평가 시 시각적인 요소로서 주의해야할 시점과 구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경관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이론을 고찰, 정리하여 교량경관평가 모형을 설정하였다.연구의 결과, 34개의 교량경관 이미지 중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높게 나온 이미지는 건물이 전체 경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34개의 교량경관 이미지가 ‘도시적인’ 설문을 통해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어 졌다. 요인1과 요인4가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요인2가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개의 변수로 시뮬레이션하여 총 10개의 슬라이드를 가지고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시뮬레이션한 경관 중에서 경간장 3:4:4:3의 비율이 도입된 경관의 선호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하천의 폭과 교장에 따라 다른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교량 설계시 교량이 가지는 원래의 기능에 충실한 동시에 교량 형태의 미학적인 측면에서의 아름다움도 중요하지만 교량의 경간장과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통해서도 교량의 아름다움을 전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according to background landscape on the preference by setting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as variabl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it examined the concepts and classification through books related to existing research papers and theori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s to suggest the theoretical basis for case studies, and it explored point of time to be careful and composition as visual factors in the evaluation of bridge landscape after examining aesthetic theory of bridge landscape and the aesthetic composition factors of the bridge. In addition, it set up the bridge landscape evaluation model by examining and organizing theories on the landscape analysis and evaluation method.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image, which had the highest mean in 'urban-style' in 34 bridge landscape images, the rate of building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in the entire landscape. 34 bridge landscape images were classified with five types through 'urban-style' questions. Factor 1 and factor 4 showed the highest mean in 'urban-style,' while factor 2 showed the lowest mean in 'urban style.' As a result of preference surveys with a total of ten slides by conducting simulations with two variables, preferenc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width of streams and a total length of a bridge in contrast to the expectation that the preference of landscape of 3:4:4:3, in which the ratio of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is wide among simulation landscapes, would be the highest.

저자
  • 이시영(배재대학교 조경학과) | Lee, Shi Young
  • 이희정(배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Lee, Hei Jung Corresponding author
  • 심준영(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Shim, Joon 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