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래동화그림책의 흉내말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흉내말 특성 KCI 등재후보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c Words of Young Children in Story Decorating of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Symbolic Wor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56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아교육연구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그림책의 흉내말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흉내말 특성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20명이며, 실시기간은 총 12주였다. 연구방법은 흉내말을 넣어 유아들이 이야기꾸미기 한 활동 자료를 수집한 뒤, 흉내말 범주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흉내말 특성 변화를 측정하고, 유아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래동화그림책의 흉내말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아들의 흉내말 사용 빈도가 증가하였고 문장에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특성을 보였다. 유아들이 사용한 흉내말의 의미적 특성에서는 실시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사용빈도가 점차 증가하였고 기존의 관습화된 흉내말과 새롭게 창조된 흉내말이 나타났으며 어감을 인식하는 특성을 보였다. 유아들이 사용한 흉내말의 형태적 특성에서는 실시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문장에서의 위치를 적절히 찾았으며, 반복적 형태가 주는 리듬감을 인식하였고, 새로운 흉내말을 창조하는 특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characteristics of symbolic words of young children in story decorating of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symbolic words are. The subjects are 5-year-olds, and the term of the study is 12 weeks. The approach was proceeded by collecting of the data of young children doing their activities with symbolic words, during which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by 'the check list categor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c words' and interpreted the features of symbolic words of young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fter using the symbolic words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symbolic words, the frequency of using symbolic words has increased in the three-time measures(first, middle, final). Next, in the practical use of the symbolic words, the semantic features of young children's use of symbolic words are that the longer the activities of the symbolic words using, the more frequently infants use the symbolic words. Besides, newly created symbolic words show up and as time goes by, it shows the tendency of recognizing the feeling of words. Last, in the practical use of the symbolic words, morphological features of infants' symbolic words are as follows. Young children show the a change of location in the sentences by repeating the practice, show the most frequent use from the early stage, and by repeating the practice, infants tend to perceive the rhythm and enjoy it.

저자
  • 유수옥(대전 성남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 | Ryu, Su 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