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동기시대의 무덤 및 매장주체부 재검토 -김해 율하리유적을 중심으로- KCI 등재

AStudy on Tombs and the Tomb Chambers in the Bronze Age - ARe-examination of Yulha-ri sites, Gimha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1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이 논문은 김해 율하리유적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의 무덤을 중심으로 시신 매장방법에 관해 검토한 것이다. 유적은 주거+저장+분묘+의례공간으로 구성된 청동기시대 후기의 대규모 취락유적으로, 이중 무덤은 총 106기가 확인되었다. 무덤의 종류는 지석묘(개석식 묘역지석묘, 개석식 지석묘), 석관묘(상형석관묘, 석축석관묘), 목관묘, 토광묘, 옹관묘 등이며, 여기에 채용된 매장주체부의 종류도 상형석관, 석축석관, 石+木棺, 목관, 옹관, 토광 등이다. 특히 지석묘의 매장주체부는 석축석관이 주를 이루지만 옹관을 제외한 모든 형식이 사용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것은 지석묘의 속성이 기본적으로 상석이나 묘역을 통해 외형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 내부적 속성인 매장주체부는 일률적으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石+木棺이 사용된 무덤은 최근에 조사예가 증가하고 있는데, 목관이 보다 적극적으로 매장주체부에 수용된 결과라 생각된다. 따라서 목관묘와 토광묘도 다른 묘제들과 함께 청동기시대에 활발히 조성되었던 무덤형식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한 단위 유적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한반도 전역으로 확대하여 해석하는 것은 아직 한계가 있지만 확인된 무덤의 수가 많고, 다양한 묘제들과 매장주체부가 복합적으로 출토되기 때문에 한국 청동기시대 무덤 매장방법에 대한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hod of burial especially regarding tombs in the Bronze Ageexcavated from Yulha-ri sites, Gimhae in Korea. The site is a large scale settlement includinghousing, storage, tomb, and ritual space in Bronze Age. Tombs that have been found are 106 intotal. The types of tomb are dolmens (Capstone type domens with graveyard facilities (蓋石式墓域支石墓), capstone type dolmen (蓋石式支石墓)), stone coffin tombs (Stone cist tombs, Stoneouter coffin tombs), wooden coffin tombs, hollow type tombs, pottery coffin tombs, etc. Thetypes of tomb chamber were stone cist type, stone outer coffin type, wooden coffin type withstone, wooden coffin type, pottery coffin type, hollow type, etc. Especially, the tomb chamber ofdolmens mainly features stone outer coffin type, but it is notable that all types were adoptedexcept pottery coffin type. It seems that as dolmens are for the external appearance by means ofthe capstone and grave boundaries, the tomb chamber, which is an internal attribute, was notdecided uniformly, but adopted selectively. Recently, many wooden coffin tombs with stone(stone+wood) have been found, which is the result of adopting wooden coffin type more active-ly for the tomb chamber. Thus, it is confirmed that wooden coffin tombs and hollow type tombswere adopted frequently in the Bronze Age. However, this included only one unit of sites, and thus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apply it toall other parts of Korean peninsula. It is expected, though that this could be an example of burialmethods in the Bronze Age since there were many tombs excavated in this area, and variousmethods of burial and tomb chambers were found from this sit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김해 율하리유적 개요1)
  1. 유적입지와 환경
  2. 무덤의 입지와 배치
 Ⅲ. 무덤 및 매장주체부 검토
  1. 무덤 및 매장주체부의 구분
  2. 매장주체부의 분류 및 속성검토
 Ⅳ. 맺음말 -청동기시대 무덤의 다양성-
 참고문헌
 영문요약
저자
  • 尹昊弼(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윤호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