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낭균 곰보(Morchella esculenta)버섯의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Morchella esculenta in Ascomyce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1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곰보버섯의 자실체 색은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갓의 형태는 원뿔모양이며, 대의 색은 흰 크림색 또는 흰색이다. 자실체를 반으로 잘라보면 갓과 대는 속은 비어있다. 자실체의 현미경 관찰에서 자낭의 크기는 113.5~114.2×9.3~10.3㎛, 자낭포자의 크기는 17.6~20.9×9.4~10.7㎛, 측사는 40.0~45.2×5.8~6.4㎛, 대의 안쪽세포는 7.5~15.1㎛이었다. 곰보버섯 자실체 발생지 환경조건은 온도 13.8℃, 습도 75.8%, 광 538룩스이며, 토성은 sand 72.7%, silt 21.0%, clay 6.3%로 silt loamy 이며, 유기물 함량은 10.0%로 밭 토양보다 많고 인산함량은 낮았다. 균주별 균사배양 최적배지는 PDB 배지이며, 배양최적 온도는 25℃, pH는 5.0이었으며, 합성배지인 Czapek에 배지에 조정된 무기태 성분의 최적농도는 potassium phosphate 1%, sodium nitrate 2%, potassium chloride은 대조구에서 좋았다. 영양원 선발에서 최적 탄소원은 mannose이었으며, 최적농도는 5%이었다. 질소원은 대조구에 비하여 균사생육이 극히 저조하였다. 곰보버섯 균핵 형성 촉진배지 선발시험에서 균사생장과 균핵 형성이 좋은 배지는 폐면 이었으며, 톱밥에서는 참나무톱밥에서 균사생장이 빨랐다. 폐면과 참나무톱밥의 혼합비율은 참나무톱밥 20%+폐면 80% 혼합수준에서 균핵 형성이 좋았고 첨가제인 밀기울의 혼합비율은 15-20%, 황산칼슘은 2% 수준에서 균핵 형성이 좋았다. 토양종류별 균핵 형성은 피트모스 처리구에서 균사생장 및 균핵 형성이 가장 좋았으며, 피트모스의 혼합비율은 60-80%이나, 참나무를 혼합하면 50:50으로 혼합 처리한 구에 밀기울을 30% 첨가하면 균핵 형성이 가장 좋았다.

This study was executed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a artificial requisites of fruitbody occurrence. Environmental requirements on habitat for fruitbody occurrence of collected cultures resulted in leading to 13- 16℃ and 75% relative humidity, and requiring silt loam of soil texture which had more nutritional substances than a dry field. Optimal temperature was 25℃, medium PDB, and pH 5.0 in cultural conditions. Mannose required of 5% in ASI 59002, 59003, 59004, but 3% in ASI 59001 was selected as optimum carbon source. The substrates stimulating sclerotium formation were cotton waste, or cotton waste + oak sawdust (mixture ratio of 8:2), which had 20% additive of wheat barn respectively. Sclerotium was formed well in the substrate adjusted chemical properties by applying 2% of calcium sulfate. Sclerotium forma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peat moss + oak sawdust (mixture ratio of 5:5) + 30% of wheat barn.

목차
ABSTRACT
 서언
 재료 및 방법
  가. 공시균주
  나. 발생지 환경조건 및 배양적 특성구명
  다. 균핵형성 및 자실체 발생유도
 결과 및 고찰
  가. 곰보버섯 자실체의 형태적 특징 및 발생지 환경조건
  나. 균주별 배양적 특성
  다. 균핵형성 및 자실체 발생 유도
  라. 자실체 발생조건 구명
 적요
 인용문헌
저자
  • 김한경(용인버섯연구소) | Han-Kyoung Kim
  • 이강효(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이강효
  • 정종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정종천
  • 전창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전창성
  • 석순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석순자
  • 장갑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장갑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