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NaCl의 농도가 병재배 느타리버섯 균사생장 및 자실체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Yield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sp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1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NaCl 농도가 느타리버섯 균사생장 및 자실체 발생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PDA배지에서의 NaCl 농도에 따른 균사생장은 0.5%처리까지는 버섯균사 생장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1.0% 처리에서는 생장하는 속도가 무처리에 대비하여 감소되기 시작되어 5.0%에서는 균사생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톱밥배지에서는 PDA배지에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균사생장의 감소속도는 완만하였다. 톱밥 병재배시 NaCl 농도별 시기별로 관수 처리한 결과에서는 균긁기 직후 처리에서는 버섯 품질과 수확량에서 3.0%처리부터 떨어지기 시작하여 10.0% 처리에서는 무처리의 47%정도 밖에 수확할 수 없었다.버섯 발이 직후 처리에서는 균굵기 직후의 처리와 유사한 경향이나 발이전 침수보다는 상태가 양호하였으며, 10.0% 처리에서도 무처리의 90%정도로 그 피해가 적었다.버섯생육도중 관수처리시는 10.0% 처리 이외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 처리도 발이전 처리 및 발이후 처리보다는 생육특성이 양호하였다.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에 있어서는 처리시기별, 처리농도 별로 커다란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느타리버섯에 사용되고 있는 지하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일부의 농가에서 부분적으로 먹는 물의 기준치에 초과하는 농도를 보이고 있으나 이것이 직접적으로 버섯재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These studies were investigated for effect of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on occurrence and growth of fruitbody in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When the mycelia were inoculated and cultured on the PDA plate added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odium chloride, the growth of them were not affected at the concentration of 0.5%, started to decrease at 1.0% as compared with the PDA plate without sodium chloride, and they did not grow at 5.0%. When tested at the column filled with sawdust, the tendency was similar, but the decreasing rate of mycelial growth was gentle. In sawdust bottle cultivation sprinkled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solution at the different stag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fruitbody started to decrease at 3.0% of the solution and the yield at the treatment of 10.0% solution was only 47% of that in non-treated bottles. Treated at the different stages of mushroom development, treatment just after mushroom sprout did not show any different from that just after scraping spawn from the complete grown bottles. The sprinkle treatment at this stage looked better than that of the soaking with the solution before mushroom sprout. The yield at this treatment with 10% solution showed little damage with that of 90% of nontreated bottle. Sprinkle treatment during mushroom growth stage did not affect and showed almost same to non-treated bottle except the treatment with 10.0% solution. The treatment of this stage showed better results of growing characters than the treatment after and before mushroom sprouting even 10% soluti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do not distinguish to treatment of different stage and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solution. The analyzing data of quality on underwater usually used for oyster mushroom in Inchon, Yeongjong and Kanghwa area showed over-concentration to the standard for edible water and agricultural water. But it was not confirmed whether this water quality could affect to mushroom cultivation.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톱밥배지에 NaCl 처리시 느타리버섯 품종별 균사생장
  톱밥 병재배시 NaCl농도에 따른 느타리버섯 생육상태
  지역별 버섯재배용 지하수 수질 조사
 결과 및 고찰
  PDA배지에 NaCl 처리시 느타리버섯 품종별 균사생장
  톱밥배지에 NaCl 농도별 처리시 느타리버섯 품종별 균사생장
  톱밥 병재배시 NaCl농도별 처리시기에 따른 느타리버섯 생육상태
  지역별 버섯재배용 지하수의 수질현황조사
 적요
 참고문헌
저자
  • 전창성(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Jhune chang-sung
  • 설화진( 인천시 농업기술센터) | 설화진
  • 공원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공원식
  • 유영복(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유영복
  • 김진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김진호
  • 정종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정종천
  • 이찬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이찬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