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천마버섯(Armillaria gallica )의 생태학적 서식지 조사 KCI 등재

Investigation on ecological habitats in Armillaria gallica mushroo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4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2012년에 전국의 주요 천마재배 지역에 천마버섯 자실체 발생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자실체 발생은 10월 17일경 거의 동시에 경기도 남양주, 경북 상주, 경북 김천에서 이루어졌다. 자실체가 발생한 지역과 주변 지역의 자실체 발생에 영향을 주는 시기인 버섯 발생 2주전의 온도 및 강수량을 조사하였다. 기온은 최저 3~23℃, 최고 15~26℃, 평균 9.9~17.5℃였으며, 강수량은 10월 10일에 0.5~1.0mm, 10월 17일에 2.5~4.5mm를 기록하였다. 자실체 발생지는 5년 전에 천마를 재배하였고 지금은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지역으로 잡초가 많이 우거진 상태였다. 발생지는 경사가 15도 정도로 다소 있는 동향으로 양토로 이루어져 있었다. 천마를 재배한 밭과 이웃 밭 간의 작은 도랑을 중심으로 양쪽 옆으로 자실체가 많이 발생되었는데 수분이 항시 있고 잡초가 우거진 상태였다. 자실체는 참나무 원목이 아닌 토양위에서 발생하였다. 군생으로 발생도 하였지만 자실체가 1-5개 정도로 산발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였다. 자실체 발생지를 자세히 살펴본 결과 간혹 검정색의 굵은 균사속을 따라 자실체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실체를 뽑아보니 자실체 기부에 균사속이 붙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Armillaria gallica was ecologically surveyed to investigate its relationship with Gastrodia elata in cultivation areas of Korea in 2012. In the observation made around October 17 in the area of Namyangju (Gyeonggi), Sangju (Gyeongbuk) and Gimcheon (Gyeongbuk) in Korea, the fruit bodies of A. gallica were consistently found near the cultivation areas of Gastrodia elata across these cultivation areas. Since the temperature and rainfall have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of fruiting of A. gallica, we checked the temperature and rainfall around two weeks ago of mushroom fruiting. The average temperature of all cultivation areas was 9.9~17.5℃ (the lowest temp.: 3~23℃, the highest temp.: 15~26℃) and the annual rainfall was 0.5~1.0mm on October 10 which can be compared to 2.5~4.5mm on October 17. Fruiting bodies were generally developed at weedy field in which G. elata were cultivated five years ago. The field was inclined 15 degrees, east-facing and consists of loam. The fruit bodies were formed on both sides of a small ditch between the Gastrodia elata cultivation fields and neighboring fields, and the areas were common weeds and moisture at all times. The fruiting bodies were growing above the soil rather than oak wood. Gregarious, but also occurs to 1-5 fruiting bodies occur sporadically. Results observed in detail the growing areas, some fruit bodies were developed along the black and thick rhizomorph formation.

목차
ABSTRACT
 적요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
  • 유영복(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Young Bok Yoo
  • 오진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화학물질안전과) | 오진아
  • 오연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오연이
  • 문지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문지원
  • 신평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신평균
  • 장갑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장갑열
  • 공원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공원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