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푸른곰팡이가 톱밥재배시 꽃송이버섯의 균사배양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945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꽃송이버섯 톱밥재배 초기배양시 주 오염원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푸른곰팡이에 대한 꽃송이버섯과의 대치배양을 통한 균사생육 특성을 파악하고 푸른곰팡이에 대한 저항성균주를 색출하고자 본연구를 수행하였다. 푸른곰팡이 공시균주는 경상대학교 산림자원학과에서 분양받은 6951(T. viride) , 6426(T. harzianum) 등 2개균주와 우리소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는 푸른곰팡이균(6952; T. viride)을 자체수집하여 본 실험에 대치배양 균주로 사용하였고 푸른곰팡이 균주와 대치배양에 사용할 꽃송이버섯 균주는 1차년도에 우량균주로 자체 선발한 10개균주(JF 02-06, JF 02-12, JF 02-15, JF 02-17, JF 02-26, JF 02-27, JF 02-29, JF 02-36, JF 02-41, JF 02-42)를 공시균주로 사용하였다. 톱밥 배양시 발생되는 대부분의 푸른곰팡이 오염이 배양실의 잡균에 의해 살균미숙보다는 배양실에서 오염되는 특성이 대부분인 점을 감안하여 먼저 꽃송이버섯균 10개 균주를 20일전에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좌측에 접종하여 25℃에서 20일간 항온배양을 실시한 후 우측에 서로 다른 3개의 푸른곰팡이 균주를 접종하여 20일동안 대치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푸른곰팡이 균주인 6951(T. viride)과 6952(T. spp.) 균주는 꽃송이버섯 균주가 생육이 왕성하였을 경우에는 경계침범을 하지 못하고 서로 대치배양을 하는 특성이 있었으나 이와 반대로 푸른곰팡이 6426(T. harzianum) 균주는 꽃송이버섯 균주의 생육 왕성시에도 경계를 침범한 후 표면을 덮고 수많은 포자를 형성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균주배양 및 버섯발생시 T. harzianum 균주에 의해 오염이 되지 않도록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만약 오염이 되었을 경우에는 배양실을 살균소독 한 후 오염된 배지는 재배사와 떨어진 곳에 폐기처분을 실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저항성 균주 선발을 위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6951, 6952균주에서는 꽃송이버섯 10개균주 모두에서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6952균주에서는 포자를 빨리 형성하는 특성을 가져 이 균주에 오염될 경우 재배사내에서 빠른 확산이 우려되었다. 또한 6426균주는 매우 빠른 균사생장을 보일 뿐만아니라 6952균주와 마찬가지로 포자를 빨리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952균주 보다 더 위험한 요인으로는 꽃송이버섯의 균사가 생장이 왕성한 부위까지 푸른곰팡이 균사가 2차로 침범하여 포자를 형성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만약 농가에서 꽃송이버섯 재배중 6426균주에 오염되었을 경우에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특이하게 도 10개 균주중 구례에서 채집한 균주인 JF02-06에서는 푸른곰팡이가 포자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JF02-06균주는 비교적 다른 꽃송이버섯 균주에 비해 6426(T. harzianum) 균주에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
  • 양은정( 전남산림자원연구소) | 양은정
  • 박화식( 전남산림자원연구소) | 박화식
  • 위안진( 전남산림자원연구소) | 위안진
  • 신현재(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신현재
  • 김현석( 전남산림자원연구소) | 김현석
  • 오득실(전남산림자원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