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혼합잡곡분말의 영양성 및 기능성 KCI 등재 SCOPUS

Nutritional composition and functionality of mixed cereals pow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06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본 연구는 잡곡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 및 활용성 증대의 일환으로 혼합잡곡분말을 제조하고 이들의 영양성 및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혼합잡곡분말은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혼합잡곡 분말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였으며, 혼합잡곡분말 B가 가장 높은 유리당 함량을, 혼합잡곡분말 D가 가장 높은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주요 무기질은 칼륨(K), 마그네슘(Mg), 칼슘(Ca)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9.27~52.94 mg/100 g, 2.53~4.94 mg/100 g 범위로 비율에 따라 미비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혼합잡곡분말 F가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냈다. 혼합잡곡분말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혼합잡곡분말 C가, ABTS radical 소거능은 혼합잡곡분말 D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시료 C와 D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영양성과 기능성이 높은 혼합잡곡분말 제조를 위해서 시료 D와 같이 보리, 기장, 수수, 율무를 2:2: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Six types of mixed cereals powder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mixing ratios of barley, proso millet, sorghum, and adlay, and their nutritional components and functionalities were analyzed. The mixed cereals powders contained high levels of crude protein. The free amino acid and mineral contents of Sample E were the highest among all the samples. Fructose, glucose, sucrose, and maltose were detected as the four major free sugars in all the mixed cereals powders, and Sample D had the highest amount of reducing sugar among all the samples.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Sample F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amples. Sample C showed the highest level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s for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IC50 of Sample D was the lowest among all the samples, bu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at of Sample C. Therefore, we suggest 2:2:1:1 (in Sample D) as the best mixing ratio of barley, proso millet, sorghum, and adlay to produce a mixed cereals powder with excellent nutritional value and antioxidant activities.

저자
  • 김자민(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Kim, Ja-Min
  • 박주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주영
  • 김건우(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생약자원학전공) | 김건우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