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의 ‘역사와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 글로벌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45) -

A Content Analysis of “History and Society” Textbooks of China - Based on 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63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중경제문화연구 (Korea-China Economic & Cultural Review)
한중경제문화학회 (Korea-China Economic & Cultural District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 시대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중국의 중학교 ‘역사와 사회’ 교과서 1종, 2권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글로벌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문화적 다양성에 따른 국가, 인종(민족 포함), 종교, 사회계층, 연령, 성별, 장애 등 일곱 가지 범주였다. 분석방법은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이다. 분석범위는 다문화교육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문화 주제들이다. 이에 따라 다문화교육은 어떤 측면의 문화적 다양성을 주목하였고 어떠한 관점에서 다루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의 다문화교육은 국가와 인종·민족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국가와 민족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국가문화의 차원에서 ‘세계문화 백화원’을 제시하여 국제이해교육을 지향하였으며, 국내의 다민족·다문화 교육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러한 다문화교육은 글로벌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국제이해교육의 차원에 머물러 있는 수준으로,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 교육을 통합시켜 다문화이해를 바탕으로 평등, 정의, 공존을 추구하는 글로벌 다문화교육과는 아직 거리가 있다는 한계를 보였다. 이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을 선정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네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은 국가, 인종, 민족, 종교, 사회계층, 연령, 성별, 장애 등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은 국제이해교육의 차원을 넘어서 다문화이해를 바탕으로 공존, 평등, 정의를 추구하는 글로벌 다문화교육의 차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은 특정 단원·주제에 추가적으로 다루어지는 기여적 접근과 부가적 접근을 넘어서 변혁적 접근과 사회적 행동 접근으로 나아가야 한다. 넷째, 지방교육과정과 학교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국가교육과정 및 이에 따른 교과서에서도 다민족교육을 반영할 필요가 있고, 또 중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도 다문화교육의 대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China's “Hitory and Society” textbooks of junior high school were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multicultural education suitable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Analytic scheme of this study on cultural diversity consists of seven categories: country, race (including ethnic), religion, social strata, age, gender, and disabilit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are used. Analytic range is subjects of culture wher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re mainly dealt with. The analysis are focussed on types of cultural diversities and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ina was not mentioned explicitly. Although it had focused on national and ethnic diversities, but because national culture and ethnic culture had the same meaning, so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ina actually only paid attention to the cultural diversities of countries. It was oriented towards th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the “garden of world culture”, while not concerned about China's domestic multi-ethnic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uch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ina have tended to the perspective of 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 to some extent. However, it failed to go beyond the dimension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So the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ina seams to be far behind from the 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can be made for the fu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China: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reflect cultural diversities covering race, ethnicity, religion, social strata, age, gender, disability in a broad sense.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go beyond th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make progress towards the view of 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pursues coexistence, equality and justice on the basis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move towards transformation approach and social action approach, rather than contribution approach and additive approach where multicultural education is dealt with in addition to the specific section or subject. Fourth, the reality of multi-ethnic education in both local curriculum and school curriculum is to be reflect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me for foreign residents in China is also to be provi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역사와 사회’교과서에서의 다문화교육
 Ⅴ. 결론: 글로벌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본 중국의 다문화교육
저자
  • 채춘매(한국학중앙연구원 교육학 박사 졸업) | Cai, Chunm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