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字彙部首小考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212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字彙』는 해서 자형 구조에 근거하여『설문』의 540부수를 214개로 간소하게 줄이고, 필획배열법이라는 획기적인 부수 및 한자 배열법을 확립하여 문자학, 사전학에서의 가치가 대단히 높다. 본논문은 『字彙』가 『설문』540부수를 개혁하는 과정에서 작용한 개혁 원칙을 밝혔다.『자휘』는 당시 유행하던 통속자를 수록하여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자를 규범화하는 게 목적이었던 만큼 자전 이용의 편의성과 통속성을 가장 중요시 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설문 부수를 연용해 쓰기는 했지만, 그 가운데서도 잘 쓰이지 않는 부수-空頭部首, 同形複體 부수, 도태된 한자로 된 부수 등-를 삭제하여 부수의 수를 거의 반 이상 줄여 사용자이 편의를 증강하였으며, 새로이 한자의 부수귀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도 기존의 부수를 최대한 활용하여 가능한 새로운 부수의 창출을 줄여 부수체계가 번잡해 지지 않도록 노력했다. 새로이 부수를 재 귀납 하는 과정에서는 해서의 자형을 기준으로 하여 자형이 유사하거나 공동의 부건을 가진 부수들을 한데 모아, 다시 의미적 연관을 가지는 지를 파악하여 부수를 상호 병합시켰다. 자형이 유사하거나 공동의 부건을 가진 부수끼리 모았을 때 어떤 부수를 선택하여 귀납할 지는 오로지 그 부수의 통속성, 대중성에 따랐다. 즉 좀 더 많이 사용되고, 의미 범위가 더 넓은 부수를 남겨 나머지 부수를 병합하도록 하였다. 부수를 쉽게 귀납하고 자전 이용에 편의를 더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새로운 부수를 창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자휘의 부수 개혁에는 연용, 삭제, 병합, 창출이라는 대원칙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효과적으로 해서 자형을 귀납할 수 있는 부수를 정비해 나갔다. 자휘 부수의 특징은 『字彙』는 해서체의 자형을 기초로 불필요한 부수를 정리하여 부수체계를 간소하게 하였으며 검자의 편리성을 높였다는 것이다.『字彙』는 때로는 부수를 부호로 간주하기도 한다. 이는 매응조가 이미 한자 필획의 부호성을 인지하고, 실천을 통해 의식적으로 자의의 연관성에 의한 부수 귀납, 즉 ‘以義歸部’의 속박을 벗어나 해서 자형에 맞도록 부수 귀납을 재편성해냈음을 말한다. 『字彙』는 또 ‘필획배열법’에 의해 철저하게 ‘數’의 개념에 입각하여 부수와 각 부수의 소속자를 배열하였다. 또 같은 획수끼리 묶인 부수를 다시 십이간지에 의해 분류 병합하고, 각 부수에 속하는 한자의 수와 같이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모든 간지마다 부수가 20개에서 29개 정도 병합되고 글자 수도 고르고 체계적으로 배열되도록 하였다. 『자휘』는 그 이전의 자서들이 이룩하지 못했던 부수개혁의 경지를 초월하여『설문해자』부수를 계승함과 동시에 그것을 전면적으로 개혁하였고, ‘필획배열법’을 확립하여 자서 이용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였으며, 후에 편찬된『正字通』,『康熙字典』,『中華大字典』,『辭海』,『辭源』등은 모두 『자휘』의 부수체계를 채택하는 등 후세 사서 편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中国编纂字书的历史始自东汉许慎编纂的《说文解字》。《说文》以前的字书, 《苍领》残篇和《急就篇》均按照意义类别编排。《说文》在编排上大有突破,彻底运用了“ 分别部居,不相杂厕”,“建类一首,据形系联”的编排原则。这些原则给后代字书的影响非常之 大,成为历代编纂字书的楷模.自从《说文》成了字书编纂的典范之后,出现了许多祖述《说文》的字书。其中《玉篇》、《类篇》、《字汇》、《正字通》都还有善本流传至今,这些字书尽管字体、部数、部次、字数、字次都有不同之处, 但是观察其渊源即可得知全部都是以《说文》为宗, 稍有改变而已。随着文字的演变,人们需要以楷书为正文的字书,上述的字书当中《玉篇》、 《类篇》、《字汇》、《正
字通》等字书就是以楷书为正文的。尤其是《玉篇》为汉字文字学史上第一部楷书字典,《玉篇》依据《说文》的体列分部排列,与《说文》不同的 地方在于《玉篇》分了542个部首,对《说文》的部次进行了重新调整,尤其是对《说文》的 部首归纳也进行了调整。可是《玉篇》仍然拘泥于《说文》的部首系统,依旧按篆体分部, 不能完全按照楷书的字体来重新调整部首和部次。于是,可以说祖述《说文》的字书真正 突破《说文》的界限,一直到明代由《字汇》的编攒才能完全实现。《字汇》依据楷书字形 的特点对《说文解字》的540部首作了重大的改编, 并列了214个部首。《字汇》所建立的214个部首,不仅《字汇》本身采用,而为后代楷书字书建立了一个能够突 破《说文》的界限,适合归纳楷书字体的部首系统。这可以说是汉字分部的 一次全面性的改革。经过对《字汇》和《说文解字》部首的统计和分析,能够得出以下六项 原则。第一,保留《说文解字》的一些部首。第二,删除有部无属字的空头部首。第三, 合并同形复体的部首与其基本构件。第四,合并字形上有共同部件的部首。第五,合并字形相近 的部首。第六, 必要时新增一些部首。《字汇》部首的特点与价值不在于超越以前的字书所未能达到的境地既继承《说文解字》部首,又全面的改革它。改革的核心为简化部首,有效地归纳所属字,并给读者提供检索的便利。通过全面又革新的改革将540个说文部首简化到214个。《字汇》部首最大的特点就是以楷体为基础较为完善的反映当时楷体的字形结构。 《字汇》又确立‘笔画排列法’,彻底以笔画的多寡排列部首和其所属字提高了字数使用效用,而此法成为后世字书编纂的楷模。《字汇》既收容说文部首的‘從義歸部’原则,又打破其原则彻底立脚于楷书字形结构合并部首、调整部首归纳,对字形变化大得不能以说文部首归纳的汉字进行了合并工作。这别于其他执着于部首之意部供能反而引起字形归并混乱的字书,将部首当做符号,只关注字形结构上其部首所具有的代表性而归纳所属汉字,而这观点正符合于日益符号化的汉字演变规律,于是《字汇》的部首体系可以为后世字书继承,享用丰富的生命力。

저자
  • 金玲敬(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연구원, 동의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