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진양호 댐 지역 수달의 서식지 환경과 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ies on the Behavior Ecology and Habitat Environment of Eurasian Otter(Lutra lutra) in Jinyang-lake Dam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2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진양호 댐 지역을 대상으로 수달의 서식지환경 및 행동 행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2006. 7~2012. 7월까지 수달의 주요 서식지로 예상되는 총 6개소의 지점 (댐 둑을 중심으로 댐 내 5개 지점과 댐 밖 1개 지점)을 대상으로 식생 및 어류상 조사와 이동통로에 무인 열감지 장비를 이용하여 년 중 24시간 촬영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달의 이동시간과 특성을 월별 및 시간대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식생은 총 65종으로서 목본류 33종과 초본류 32종이었고, 어류상은 총 4목 9과 3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댐 내에서 서식하는 5개체는 지속적으로 댐 내에 서식하며 먹이 활동 후 다시 댐으로 들어가는 횟수를 년 중 121회, 댐 밖으로 나가는 횟수는 122회로 나타났다. 수달은 먹이공급은 댐 밖에서 하고 보금자리 이용은 댐 안에서 하는 것으로 댐 지역은 수달의 안전한 보금자리와 충분한 먹이가 있는 서식지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수달의 서식환경과 수달의 생태학적 연구는 수달 개체군의 보전과 수달 서식지의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habitat environment and behavior ecology of otters in the area of Jinyang-lake dam. July 2006 to July 2012 otter's main habitat expected to place a total of 6 points (5 points within the dam around the dam bank and 1 point outside the dam) Vegetation and ichthyofauna surveys were targeted. In addition, the ecological corridor to using the unmanned heat detection equipment 24 hours of the year based on data captured otters travel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thly and hourly basis based analyzed. As a result, the total 65species of vegetation, woody and herbaceous 33species was 32species and the ichthyofauna was 4order 9family 33species and a total of 5 objects inhabiting in the dam continued to inhabit in the dam. An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imes of returning to the dam upon feeding activity was 121 times per year and the number of times of going outside the dam was 122 times. Otters conducted feeding outside the dam; however, they utilized their shelter in the dam;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area of the dam could become a safe shelter and a habitat with a sufficient quantity of foods.  Such study on the habitat environment and ecology of otters shall be leveraged usefully as a basic data to conserve the population of otters and protect the habitat of otters.

저자
  • 민희규(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산림환경자원전공) | Hee-kyu Min
  • 김종갑(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ong-kab Kim
  • 권오규(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산림환경자원전공) | Oh-kyu Kwon Corresponding author